경기도,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계획 발표
9월까지 절차 마무리, 대상지역 선정
기존 공공의료원 개선안도 마련 예정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 중인 경기도가 오는 9월까지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을 위한 절차를 마무리하고 설립 지역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새롭게 설립될 동북부 의료원은 운영 등에 있어 혁신을 꾀한다는 계획으로, 코로나19 이후 기존 공공의료원 만성적자에 따른 경영난, 의료진 수급 문제(2023년 12월 26일 1면 보도=시·군 뜨거운 유치전… ‘적자 운영’ 경기도의료원 반응은 싸늘) 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김동연 지사는 5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동북권 공공의료원 설립 계획’ 기자회견을 통해 “의료체계 개선이 필요한 동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부지 평가 지표를 5월까지 개발하고 민관이 참여하는 의료원 설립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공정하고 투명하게 대상을 선정할 것”이라며 “올해 3/4분기까지 마무리하고 최종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은 민선8기 김동연 지사의 공약으로, 의료취약지인 경기 동북부에 400병상 이상의 신규 공공의료원을 설립해 의료공백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동두천시, 양주시, 가평군 등 경기 동북부 시·군이 대거 유치전에 뛰어든 상황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 동북부 지역 의료 인프라는 매우 열악한다. 중증 질환을 치료할 상급 병원이 없고 일부 지역의 경우 24시간 운영하는 응급실과 분만실조차 없다”며 “응급의료체계 문제는 더 심각하다. 대한민국 심장질환 사망률이 인구 10만명당 전국 12.7명인데, 동북부 지역은 16.2명으로 상회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동북부 일부 지역 고령화 비율은 27~28%에 달한다. 그렇다 보니, 응급 질환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도민 건강권, 생명권 보호를 위해 동북부 지역 의료체계 개선은 매우 시급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지난해 6월 동북부 의료원 설립을 위해 관련 의료체계 개선 위원회를 구성해 논의를 이어왔고 공공의료원 설립, 소아응급 의료기반 확대, 돌봄 원스톱 구축 등 3대 전략을 세워 종합적인 의료체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김동연 지사는 앞으로 설립한 동북부 의료원 설립 추진 방향도 내놨다.
우선 감염병 위기 대응 등 미충족 의료 서비스 대응에 집중했던 기존 공공의료원 역할에 더해, 동북부 의료원은 정신건강, 돌봄예방까지 영역을 확대해 ‘역할 혁신’을 추진한다. 또 획기적인 디지털화와 대학병원 연계 강화 등으로 의료서비스 질을 높여 도민이 찾는 병원으로 ‘서비스 혁신’을 이루겠다는 설명이다. 끝으로 민간 병원 운영 기법과 클라우드 기반 전산 시스템 도입 등 ‘운영 혁신’으로 경영 효율성을 개선하다는 계획이다.
다만, 설립 대상 지역이 선정되더라도 실제 의료원이 세워지기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설립 지역을 결정한 이후에도 중앙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등 상당히 복잡한 절차가 남아있어 (절차를 마무리할 때까지) 4년 반 정도가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며 “최대한 이 시간을 단축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한, 김동연 지사는 현재 만성 적자에 따른 경영난과 의료진 수급 문제 등으로 어려움이 겪고 있는 기존 공공의료원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김동연 지사는 “기존 6개 공공의료원이 코로나19 이후 경영상 애로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과 별도로 6개 공공의료원 의료 서비스 향상과 개선방안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