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대 등과 정주형 인재 육성

최근 양주·포천시가 교육발전특구 유치(2월2일 인터넷 보도=양주·포천시 교육발전특구 유치 나서)에 나선 가운데 이들 지자체의 교육정책이 과거와 크게 달라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인재육성이란 단순 목표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그 지역에서 대학을 나오고 취업한 뒤 거주하는 정주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지방소멸 대응 성격이 강하다.

5일 양주·포천시에 따르면 포천시는 교육발전특구 유치를 추진하며 지역의 대학 진학, 취업, 정주를 '포천형 미래교육'으로 못 박고 지역 대학, 경제단체와 협력하기로 했다. 인재 육성과 일반 교육시책 등 교육정책 전반에 지역을 내세우고 있다.

양주시는 2022년부터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 사업을 추진, 지역 대학과 손잡고 일찌감치 이 같은 교육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양주지역의 특화산업을 발굴해 필요한 인력을 교육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최종 정주로 이어지게 한다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다.

지역 대학들도 이에 발맞춰 정주형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서정대는 이미 양주시와 HiVE 사업을 진행 중이며, 경동대는 최근 양주시상공회의소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주형 인재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천시도 교육발전특구 추진을 계기로 지방소멸 대응에 초점을 둔 대학 주도의 교육사업 논의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특히 인구 정체로 정주형 인재양성이 시급한 상황이어서 교육발전특구에 거는 기대가 크다.

포천시 관계자는 "교육발전특구는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 인재 양성과 정주를 목표로 하는 사업인 만큼 특구 유치에 성공하면 지역 교육정책뿐 아니라 산업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