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내 3곳 지점 모두 입점
"고객 반응 좋아 서비스 지속"
'팝콘이 먹고 싶을 땐 역시 영화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타격이 컸던 CGV 등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이 다양한 활로를 모색했던 가운데, 엔데믹에 따른 회복세에도 팝콘 배달은 여전히 이어오고 있다. 특히 메가박스의 공격적인 출점으로 수원에서의 입지가 점점 줄어드는 CGV는 지역 내 3개 지점 모두 팝콘 배달을 실시 중이다.
5일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엔 동수원·광교·북수원점 등 수원시내 CGV 3개 지점이 모두 입점한 상태다. 수원시 내에서 스낵을 배달하는 영화관은 3사(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중 CGV가 유일하다. 배달 품목은 CGV 매점에서 만날 수 있는 음식과 동일하다.
다른 지역에서는 CGV는 물론 메가박스도 배민, 쿠팡이츠 등을 통한 팝콘 배달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수원시처럼 특정 영화관의 지역 내 모든 점포가 배달에 나서는 경우는 눈에 띈다. 이는 지역 내 좁아진 입지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지난해 8월 수원의 첫 멀티플렉스 영화관이었던 CGV 수원은 '돌비시네마'를 앞세운 메가박스로 간판을 바꿔달았다. 올 초엔 CGV 동수원점에서 도보로 6분 거리에 위치한 대형 상가에 메가박스 수원인계점이 오픈했다. 한때 CGV가 입점할 것이란 설이 돌았던 스타필드 수원점에도 메가박스가 들어섰다.
이처럼 집객 효과가 높은 지역 내 대형몰 위주로 메가박스가 세력을 확장 중인데, 수원시내 메가박스 점포 수가 빠르게 늘어나 현재는 CGV의 2배인 6곳에 달한다.
CGV와 메가박스 등에서 진행하는 팝콘 배달에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집에서도 영화관 분위기를 낼 수 있다" "역시 영화관 팝콘이 맛있다"는 반응 등을 쉽게 볼 수 있었다. 팝콘 특성상 시간이 오래 되면 맛이 떨어지는 만큼, 배달 지연에 따른 품질 하락 문제를 토로하는 반응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
팝콘 배달 서비스에 대해 CGV 관계자는 "극장 관객이 4분의 1로 줄어든 코로나19 팬데믹 시절부터 자구 노력 차원에서 운영했던 서비스"라며 "소비자 반응이 좋다보니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
배민앱서 만나는 'CGV 메뉴'… 작아진 운영입지에 활력되나
입력 2024-02-05 19:56
수정 2024-02-05 19:56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2-06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