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기간제 1명씩 배치 불구
교원·돌봄전담사 등 우려 목소리
1학기 도내 73% 운영 "대책 필요"

정부가 올해 2학기부터 희망하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돌봐주는 '늘봄학교'를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운영하기로 한 가운데, 경기지역 학교 현장에서 일하는 교사·행정실 직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업무 과중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있다.

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올해 1학기가 개강하는 3월부터 관내 초등학교 975곳(전체 1천330곳 중 73%)의 1학년을 대상으로 늘봄학교를 운영한다. 이는 교육부가 올해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 1학년 상대로 늘봄학교를 운영하기로 한 데 따른 도교육청 차원의 후속 조치다.

도교육청은 늘봄학교를 운영하게 될 975개 학교 각각에 기간제교사 1명씩 배치하기로 했다. 이들에게 늘봄학교 관련 업무를 맡겨 기존 교사들이 떠안을 가능성이 있는 업무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2학기 전면 시행에 맞춰 희망 학교 대상으로 단기계약직 등을 추가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의 반발은 여전하다. 지난해 늘봄학교 시범 운영했을 당시 방과후 프로그램을 진행할 강사를 구하지 못해 교사가 마지못해 이를 대신하거나 전용 교실이 없어 업무 중에도 담임 교실을 비워주는 경우 등 어려움을 이미 겪어서다.

이에 대해 전국초등교사노조는 성명을 통해 "교원과의 분리 운영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촘촘한 준비와 명확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했고, 전교조 경기지부도 "실질적인 늘봄업무를 담당하기 위한 늘봄지원센터의 역할 강화, 학교 구성원의 협의에 의한 학교별 늘봄 정책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초등 돌봄을 책임지는 돌봄(보육)전담사 등 비정규직들과 학교 행정실 공무원 등 늘봄학교 시행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학교 구성원들도 우려를 거두지 못한다. 돌봄전담사들은 이미 업무 외 따로 시간을 내서 행정업무를 처리하는데, 저녁 돌봄 때 급식 등 프로그램이 늘어나면 근무여건이 지금보다 악화할 것을 걱정하고 있다. 행정실 직원 등 지방공무원들은 사업 추진에 앞서 충분한 전담인력 확충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서도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온 게 없는 데다, 학교마다 늘봄학교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큰 상황"이라면서도 "도교육청이 '초등책임돌봄'이란 이름으로 선도 사업을 해온 만큼,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경기형 늘봄 학교'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