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도내 한 의과대학 전경. 2024.2.6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정부가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천명 늘린다. 2006년 이후 3천58명으로 동결됐던 의대 정원을 2025년 입시부터 5천58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긴급을 요하는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다 도중에 숨지는 사례가 빈발하는 터에 소아과가 줄폐업하고 임산부들이 산부인과를 찾아 2∼3시간씩 이동할 정도로 지역의 필수의료 체계가 무너진 근본 원인이 의사 수 부족에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부는 2035년에는 국내 의사 수가 1만5천명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도 지방 의료 취약지역의 의사수는 전국 평균보다 5천명이 부족하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급증은 또 다른 변수이다. 우리나라는 내년부터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다. 2025년부터 최소 5년간은 의대생을 매년 2천명 이상 더 뽑아야 한다는 것이다.

2021년 기준 한의사를 제외한 우리나라 인구 1천명당 임상 의사수는 2.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7명보다 매우 적다. 같은 해의 국내 의대 졸업자는 인구 10만명 당 7.3명으로 OECD 평균인 14명의 절반 수준이다. 의사들의 몸값이 천정부지인 이유이다. 2020년 기준 봉급쟁이 의사 연봉은 대략 2억5천560만원으로 OECD 평균보다 40% 더 높다. 위험하고 보상이 크지 않은 필수의료 분야 기피는 당연하다. 올해 상반기 소아과 지원율은 26%에 불과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산부인과, 외과 등 다른 필수의료분야도 미달이었다. 의사들의 지방 기피는 더욱 심각하다. 2022년 기준 서울의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3명인데 지방은 1.6명이다.

조만간 지역별, 대학별 정원이 발표될 예정인데 복지부는 비수도권의 국립대와 정원이 적은 '미니 의대' 중심으로 증원하기로 했다. 필수의료 붕괴 위기의 인천시가 주목된다. 인천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 사망률은 48.5%로 충북(50.56%) 다음으로 높다. 전국 평균은 43.8%이다.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1.77명으로 전국 평균을 밑도는 데다 인구 1만명당 의대 정원도 0.3%로 최하위권이다. 난도(難度)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급종합병원이 전무한 경기 북부지역은 더 심각하다. 경기북부의 종합병원도 18개로 도내 전체 종합병원의 28%에 불과하다. 등잔 밑의 어두운 곳도 없애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