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전통시장 곳곳 찾아 유권자 소통
네탓 공방 아닌 잘 살 수 있는 대책 목소리
지지 정당따라 국정안정론 vs 정권심판론
철도 지하화 기대감, 선거구 획정지연 혼란
제22대 4·10 총선을 통해 국회 입성 및 다선에 도전하는 인천·경기지역 예비후보들은 설 연휴 동안 전통시장과 식당 등 곳곳을 누비며 바닥 민심 잡기에 총력전을 펼쳤다. 이들은 '정쟁'이 아닌 '민생'에 더 신경 써달라는 지역 민심을 확인했다고 입을 모았다.
유권자들 의견은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 '국정 안정론'과 '정권 심판론'으로 갈렸다. 정책공약 중에서는 인천·경기지역 특성상 여야가 모두 약속한 '고속도로·철도 지하화'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이는 인천·경기지역 여야 예비후보 9명의 설 연휴 민생탐방 이야기를 종합한 결과다.
인천 국민의힘 A예비후보는 이번 설 연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에서 유권자들을 만났다. 그는 "여야가 그만 싸워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네 탓 내 탓' 할 게 아니라 잘 먹고 잘살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부분이었다"며 "특히 고물가에 대한 걱정이 컸다. 여야가 대립하는 정치 얘기는 신물이 날 지경이라는 분이 많았다"고 전했다.
인천 더불어민주당 B예비후보는 "정치권을 바라보는 주민들 시선이 예전과 달라진 것을 체감했다"며 "정쟁이나 갈등은 뒤로 하고 민심을 중심으로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찾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천 민주당 C예비후보는 여야 극한 대립에 피로감을 드러내는 목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했다. C예비후보는 "현장에서 '싸우지 마라' '무엇보다 민생을 챙겨라'라는 얘기를 가장 많이 들었다"면서 "식당 주인분들은 체감 물가가 너무 올라 과거에 비해 손님이 반 토막 났다며 힘들어하셨다"고 말했다.
여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국정 안정론'을, 진보 성향 유권자들은 '정권 심판론'을 이번 총선 투표의 잣대로 삼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민생·경제 살리기 정책과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행보를 높게 평가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 지지자들은 현 정부에 대해 '불공정' '독주' 등 실망감을 드러냈다. 경기 수원지역 민주당 한 예비후보는 "새해가 됐는데 대통령이 희망을 못 준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고, 같은 지역 국민의힘 한 예비후보는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고 했다.
인천·경기지역 유권자들은 여야의 고속도로·철도 지하화 공약 실현을 기대하면서도 재원 확보 방안 등에 대해선 걱정했다. C예비후보는 "지하화 공약에 대해 주민들이 다들 좋아하신다"며 "다만 천문학적인 재원을 어떻게 해결할지, 상부 구간은 어떻게 개발할지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고 말했다. 경기 수원지역 국민의힘 D예비후보는 "주민들이 향후 철도 지하화 사업이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선거구 획정이 지연되는 것을 지적한 유권자도 적지 않았다. 인천 서구지역 한 예비후보는 "선거구 획정이 지연되면서 유권자의 선택도 혼란스러워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 관련기사 (민주 "무책임한 정부에 분노"… 국힘 "운동권·제1야당 심판")
/정치부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