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설 물가는 살인적이었다. 우리집의 경우 친정과 시댁에서 애호박전이 사라졌다. 시댁은 장손 집이라 손님이 많다. 명절엔 항상 과일을 박스로 사던 시부모님이 이번엔 정부 할인쿠폰이 붙은 배 3개들이, 사과 3개들이만 집어오셨다. 애호박전이 사라진 차례상은 처음 보고, 제수용 3개만 있는 과일상자는 결혼하고 처음본다. 아마 이 얘기를 대부분의 가정에서 공감할 것이다.
다만 정부는 생각이 다른 것 같다. 설이 시작되기 직전인 지난 8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는 16대 성수품의 소비자가격이 1년 전 설 같은기간보다 3.2%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같은 수준'도 고개를 갸우뚱하는데 '낮은 수준'이라니, 이번에도 국민이 보고 느낀 것 대신 '바이든·날리면'처럼 정부의 강변(强辯)을 믿어야 하나. 어딘가 더 싼 게 있는데 내가 장을 잘 못봐서 그렇구나, 하고 자책을 해야 하나.
다행히 우리가 보고 느낀 것을 확인해주는 통계도 있었다. 한국물가정보는 전통시장 기준으로 차례상 비용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했다. 통계청도 각 품목별 통계에서 사과와 배가 10~20% 상승했다고 했다. 아마 시장 보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이런 통계에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누군가는 체감과 가까운 통계를 내는데, 정부는 체감과 동떨어진 통계에만 기댄 것이 문제가 된 적도 있다. 지난 정권에서 부동산 통계는 국민 감정을 상하게 하는 데 일조했고, 잘못된 정책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리고 현 정권은 그것을 '통계조작'이라는 이름을 붙여 수사 중이다. 여기 이 시장 물가 통계를 내는 방법에도 토를 단다. 아둔한 통계인가, 목적이 있는 통계인가. 5천만의 곳간을 살필 방법도 못 찾는 것은 곳간에 별 관심이 없어서인가.
/권순정 정치2부(서울) 차장 sj@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