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 학부모들 "환경개선" 환영
인천지역 특수학급 유치원 17.2%뿐
관리주체 지자체서 이관 인프라 통일


'유아교육'(유치원)과 '보육'(어린이집)을 일원화하겠다는 정부의 '유보통합' 계획이 장애아를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환영받고 있다. 유치원 특수교육의 열악한 환경(2023년 10월6일자 20면 보도=장애아 유치원 특수학급 '바늘구멍 뚫기')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기회로 여기고 있어서다.

앞서 정부는 내년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각각 수행하던 역할을 하나로 묶어 '누구나 안심하는 영유아 교육·돌봄'을 실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를 위한 인력과 예산 확보 방안은 아직도 제시하지 않는 등 성급한 유보통합에 따른 일선 유치원의 업무 과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달리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열악한 특수교육 환경이 개선되기를 기대하며 하루빨리 유보통합이 이뤄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13일 유치원알리미에 공개돼 있는 '인천시 2023년 2차 공시 현황'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유치원 389곳 중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유치원은 67곳(17.2%)뿐이다. 지난해 1차 공시(16.5%) 때보다 소폭 늘긴 했지만, 여전히 특수학급을 설치한 사립유치원은 한 곳도 없다.

특수학급이 있는 유치원의 입학 경쟁을 뚫지 못한 학부모들은 통합교육이 가능한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실정이다. 하지만 어린이집 원아는 인천시교육청이 지원하는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범위에서 제외된다.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는 특수교육이 필요한 장애 아동의 60%가 유치원 대신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으로 파악했는데, 이들 모두 치료비나 통학비 등을 지원받지 못한다.

인천시교육청이 유치원 원아만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하는 이유는 현재 어린이집 관리 주체가 교육청이 아닌 광역·기초자치단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부모들은 유보통합을 바탕으로 보육(어린이집) 관련 업무까지 교육청으로 이관된다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특수교육 인프라 통합·개선과 함께 아이들이 통일된 지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광백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 사무국장은 "(장애아 자녀가 있는 학부모들은) 아무래도 유보통합을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유치원 특수학급과 어린이집이 통일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다각도로 고민해 아이들의 교육환경이 나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