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통일교육은 우리 주변 역사·문화 체험서 시작"
의정부시 조성 '소풍길' 학습장 활용
관광자원·지역상권 활성화 도움 기대
포천시 관심… "많은 지자체와 협력"

"평화통일교육은 통일에 대한 거창한 이념이 아니라 우리 생활 가까이 있는 역사와 문화 속에서 출발합니다."
소성규 대진대학교 공공인재법학과 교수는 꽤 오래전부터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 방도를 모색하고 있었다. 최근 그는 이에 대한 실마리를 체험형 교육에서 찾았다.
소 교수는 "평화통일을 막연한 염원으로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우리 대부분이 통일을 교실에서 교과서로만 배운 탓"이라며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하고 직접 경험하는 교육으로 패러다임이 바뀐다면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가 꺼낸 사업이 '역사문화체험길'이다. 왠지 친숙하게 들리는 이 사업은 현재 소 교수가 회장으로 있는 '개성포럼'과 의정부시의 협력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성포럼은 대진대학교 법학과 졸업생들이 주축이 돼 설립된 비영리 연구단체로 평화통일과 지역사회 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소 교수는 "의정부시가 조성한 탐방로인 '소풍길'에서 지역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도보코스를 개발해 체험학습장으로 활용하면서 이곳에서 통일 관련 현장학습도 하는 사업"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또 "역사문화체험길은 평화통일교육에만 머물지 않고 관광자원 개발과 지역상권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 교수가 수년간 개성포럼 연구진과 기획한 이 프로젝트는 평화통일교육의 참신한 발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 교수와 개성포럼이 처음 사업을 제안한 의정부시는 기대 이상으로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소 교수는 "소풍길을 걸으며 시민들이 내가 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뿐 아니라 평화통일에 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다"며 "이런 방식은 기존의 이론 위주의 교육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담감을 줄여 교육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근 포천시도 이 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역사문화체험길은 벌써 다른 도시로 번질 조짐마저 보인다. 한 대학교수의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열정이 접경지역에서 이처럼 작은 나비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소 교수는 "올해부터 포천시 역사문화체험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비록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더 많은 지자체와 협력하고 연구를 진척해 나가다 보면 소기의 성과를 꼭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