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 체계 효율화… 8억 지원 계획


인천시를 포함한 전국 5개 지역에서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이 진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스마트 물류체계 실현을 위해 인천시와 서울시, 부산시, 충남 서산시, 경북 김천시 등을 '2024년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운송·보관·하역 등 물류산업 전 분야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물류체계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추진되는 프로젝트다.

인천시는 화물차량 적재공간에 디지털 센서기술을 적용, 다양한 짐을 함께 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하나의 화물차량 적재공간에 생활물류, 원재료, 서비스 자재 등을 함께 실을 수 있어 물류효율을 높이고, 배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울시는 개인·기업의 수화물을 도시철도 공공인프라를 활용해 배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부산시는 저온 보관창고 공유서비스 플랫폼을 만들어 전통시장 상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산시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드론 인프라를 활용해 생활물류에 취약한 도서지역을 순환하는 드론 물류시스템을 설치한다. 김천시는 공영주차장을 기반으로 지역 거점 생활물류 공용센터를 만들고, 공유형 전기자전거를 활용해 아파트 택배 갈등을 줄여나간다는 구상을 내놨다.

국토부는 이들 사업이 원활하게 지원될 수 있도록 사업당 평균 8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 물류정책과 김근오 과장은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을 통해 다양한 혁신 기술이 활성화되면 물류 취약지역 개선 및 물류 서비스 수준 향상이 이뤄질 것"이라며 "지자체, 사업 참여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선도사례를 발굴해 널리 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