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 좋은 3040세대 주 고객화
소비자 끌어들일 상품·매장 배치
쇼핑 외 전시·버스킹 등 장소 마련
15곳 중 11곳 위탁… 직영화 예정
인천 지하도상가가 침체 일로를 겪고 있다. 인천 지하도상가가 경쟁력을 얻기 위해선 저가 중심의 천편일률적인 상품과 콘텐츠에서 벗어나는 등 혁신적으로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 지하도상가는 과거 1970~1980년대 지역경제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며 주된 역할을 했다. 인천시는 1963년 '동인천 구(舊) 지하상가'를 조성한 이후 주안역과 부평역 등 인천 시내 곳곳에 지하도상가를 조성했다. 인천은 지하도상가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도시다. → 표 참조

인천 지하도상가는 한때 다른 도시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며 번영을 누렸지만, 소비 패턴이 비대면으로 변화하고 시설이 노후화하면서 점차 소비자로부터 멀어졌다. 특히 지난해까지 장기간 이어졌던 불법 전대(轉貸·재임대) 문제로 시설 개선 등이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인천 지하도상가 전대 점포는 올해 초 기준 전체의 1% 미만으로 줄어 '행정적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지만, 상인들은 불황의 그늘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불법 전대 문제 해결과 상권 회복은 별개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제부터 지하도상가 활성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저가 상품 중심으로 10~20대 젊은 층과 고령 층을 노렸던 과거의 영업 방식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소비층을 공략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인천 지하도상가 활성화 방안을 연구한 인천연구원 석종수 교통물류연구부장은 "구매력이 좋은 세대는 3040세대"라며 "현재 지하도상가는 이들을 유인할 아이템이 별로 없다는 게 문제"라고 진단했다.
이어 "인천 지하도상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고급화 전략을 써야 한다"며 "작은 점포 여러 개를 합치는 등 일본의 지하도상가처럼 백화점과 큰 차이가 없게끔 매장들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지하도상가에 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했다. 석종수 부장은 "물건을 꼭 사지 않아도 지하도상가를 찾도록 해야 한다"며 "전시나 버스킹 공간을 설치하는 등 지하도상가 공간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과 부산 등 다른 도시들은 문화·공용·보행 공간을 확대하는 등 지하도상가 환경을 많이 개선했다고 한다.
인천시설공단은 지난 2021년 제물포 지하도상가 문화 공간 리모델링 공사를 마쳤다. 하지만 인천지역 15개 지하도상가 중 4개만 인천시설공단에서 직영하고 있어 대대적인 시설 개보수엔 한계가 있다. 나머지 11개 지하도상가는 법인이 수탁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내년 중 6개 지하도상가의 위탁 운영 기간이 만료된다. 직영화 전환이 추진될 예정"이라며 "전문가, 상인들과 함께 지하도상가 운영 방식과 역할, 활용 방안 등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시는 불법 전대 문제가 해결된 만큼 올해부터 지하도상가 활성화에 주력하기로 했다. 인천시와 인천시의회, 전문가, 상인 등이 참여하는 '지하도상가활성화 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지난달 부평역 지하도상가와 주안역 지하도상가를 방문해 상인들의 애로 사항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상인들은 점포 사용료 감면 및 납부 기한 연장, 점포 간 경계벽 철거 허용 등을 건의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