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촉발될 의료대란에 대비해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해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지자체와 복지부가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공공병원도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국의 지방의료원 35곳, 적십자병원 6곳과 보건소 등 공공병원의 진료 시간을 연장하고 비대면 진료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만약 파업이 발생한다면 파업 시에도 병원 운영이 가능하도록 재정 지원을 추진한다.
의사들의 휴진이 발생하면 문을 연 의료기관 정보를 국민에게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복지부는 지난 16일 진료 유지 명령에도 불구하고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 103명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렸고, 이들 중 100명이 현장에 복귀했다고 밝혔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정부 공공병원 비상대책 마련… 진료시간 연장·비대면 확대
입력 2024-02-18 19:37
수정 2024-02-18 19:37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2-19 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