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명 중 273명 ‘집단 동참 움직임’

정부 명령에 따라 사표 수리는 아직

인천시 “비상체제 통해 공백 막을 것”

의료계 전공의 파업 D-1 인천 대학병원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집단사직에 나선 19일 오후 인천의 한 대학 병원 응급실 앞에 도착한 엠뷸런스에서 구급대원들이 응급환자를 옮기고 있다. 2024.2.19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의료계가 20일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인천에서도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집단 동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천시는 19일 오후 4시 기준 인천에서 273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인하대병원 100명, 가천대 길병원 71명,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60명,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13명, 인천시의료원 12명, 인천사랑병원 8명, 인천세종병원 5명, 나은병원 4명 순이다.

현재 인천 내 대학병원 등 수련병원 11곳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540명이다. 이 중 사직서를 제출한 인원은 273명은 인천 전체 전공의 중 50.6%에 해당하는 수치다. 현재 인천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의료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 대학병원 4곳은 전공의 사직서 제출로 인해 아직까진 병원 운영에 실질적인 차질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전공의 이탈에 따른 인력 손실을 대비해 응급실과 수술실 운영을 축소하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하대병원 관계자는 “수술이 급한 암환자, 응급환자 등 중증환자 위주로 응급실과 수술실을 축소 운영할 계획”이라며 “중증환자가 아닌 경우엔 인근 병원으로 전원 조치를 하는 방안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가천대 길병원 관계자도 “전공의들의 집단행동 때문에 병원 운영에 차질을 빚는다면 중증환자를 우선으로 하는 ‘수술실 탄력운영제’ 등의 대책을 논의 중이다”며 “외래진료는 전문의들을 중심으로 정상운영하는 방향으로 유지하고자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각 병원은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전공의들의 사직서들을 모두 정부의 명령에 따라 수리하지 않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8일부터 비상진료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며 의료 대란 등의 사태에 대비 중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 내 종합병원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공공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비상체제로 운영해 응급환자 치료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