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기술개발 신규 과제에 523억
2030년까지 시장 4배 성장 계획
정부가 올해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개발에 523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지원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523억원을 투자한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 발표를 통해 2030년까지 민관이 3조원 이상을 투자해 2021년 5조6천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원 이상으로 4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 전략의 후속 조치로 이날 1차 공고를 내고, 오는 3월까지 제조 로봇, 서비스 로봇, 로봇 부품 등 분야에서 17개 과제(총 166억원 규모)를 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을 통해 접수할 예정이다. 제조로봇 분야에서는 복잡한 조립작업을 빠르게 학습해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원천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동차부품, 기계, 방산 등 14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첨단로봇 기반의 지능형 공정모델 개발도 지원한다.
서비스로봇 분야에서는 원격진료 로봇 개발과 놀이·식사 보조가 가능한 돌봄 로봇 기술 등이다.
산업부는 다음달까지 과제에 응모한 업체·기관을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의 평가를 거쳐 오는 4월 협약을 체결하고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2차 공고는 4월, 3차 공고는 7월 각각 시행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내에 센서, 자율조작 등 8대 첨단로봇 핵심기술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한 연구개발 로드맵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정부 '차세대 첨단로봇' 투자… 중장기 목표 '20조 시장'
입력 2024-02-19 20:28
수정 2024-12-02 20:3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2-20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