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급사업장 안전 기본계획 최종 심의·확정… 대응역량 강화
인천시가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했다.
인천시는 19일 소통회의실에서 화학안전관리위원회를 열고 '제2차(2024~2028) 인천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최종 심의·확정했다.
인천에서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많아 관련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20년 11월 남동국가산업단지 한 공장에서는 제1급 위험물인 아염소산나트륨을 다루다 폭발사고가 나 노동자 3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최근엔 인천 현대제철 공장에서 폐기물 수조를 청소하던 노동자 1명이 숨지고 함께 작업하던 6명이 크게 다쳤다.
인천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토대로 화학물질 안전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기본계획은 ▲인천시 군·구 화학사고 예방관리 플랫폼 구축 ▲화학사고 대비 기반시설(인프라) 강화 ▲인천형 화학사고 대응체계 강화 ▲신속한 주민 전파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예방관리 플랫폼에는 인천시와 산하 공사·공단, 군·구,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등이 참여한다.
이와 함께 인천시는 화학물질 관련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안전 정보 등을 담은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각 군·구가 보유하고 있는 방제 장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사고 대응 능력을 높이기로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된 안전관리 기본계획을 토대로 화학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