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배출에도
시설 4곳에 열원 변경 행정지도뿐
포천시, 道와 연계 신·증설 불허


염색공장이 밀집한 포천시 신평집단화단지 내의 고형연료(SRF) 사용을 규제할 뾰족한 방안이 없어 대기오염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된 주민들의 불안과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주민들은 산업용 보일러 SRF 연소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배출되는데 일반 배출기준을 적용받고 있어 시에 강력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19일 포천시에 따르면 신평집단화단지는 신북면 신평리 일원에 10만6천780㎡ 규모로 조성된 산업시설로 현재 19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임진강 수질 보호를 위해 유역에 흩어져 있는 염색업체들을 모아 폐수 배출을 관리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입주업체 대다수는 인근 장자일반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에서 공급하는 열원을 사용하지만 약 20%는 여전히 SRF를 고수하고 있다.

SRF는 비닐, 목재, 종이 등 가연성 폐기물을 걸러 성형한 고효율 고체 연료로 산업용 보일러에 주로 사용된다. 말 그대로 열효율이 높고 값이 싸지만 연소 과정에서 다이옥신, 황화수소, 이산화황 등 유해물질이 배출돼 대기오염 위험성이 크다.

2018년 관련법이 개정되면서 신재생에너지와 신재생 공급 의무화 대상에선 제외됐으나 허가 사항은 유지돼 사용을 강제로 규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현재 집단화단지 내 가동되고 있는 SRF 시설 4곳에 대해 열원을 변경하거나 사용량을 줄이도록 하는 행정지도밖에 하지 못하고 있다. 대책이라고 해야 자연감축을 유도하거나 신·증설을 억제하는 것밖에 없다. 이로 인해 피해를 보는 건 신평집단화단지 인근 주민들이다.

2020년에도 은근슬쩍 SRF 증설이 추진돼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한 업체는 허가가 나기 전에 증설 공사를 하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에 적발되기도 했다.

주민 A씨는 "시가 나서서 SRF 사용을 억제한다고 하지만 도에서 증설이나 신설 허가를 내주면 무슨 수로 막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시는 방법이 없다고 수수방관만 할 게 아니라 더 적극적인 유인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여러 오염물질이 나오는 SRF에 별도의 강력한 기준 적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집단화단지 입주자격을 강화하고 열원 변경을 지속해서 독려하고 있다"며 "도와 연계해 신·증설 허가 시 불가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포천/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