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심야약국 제도' 운영 0곳

인구 비슷한 동구 2개 지정 대조적
경증환자 상담 업무도 맡아 '필요'
기초단체 지속 독려에도 반응 시들


정부가 심야 시간대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심야약국'을 3년째 운영 중이지만, 인천 강화군과 옹진군에는 1개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참조

2024022101000219500021291

공공심야약국은 심야 시간에 발생하는 의약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됐다. 공공심야약국은 365일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1시(또는 자정)까지 운영된다.

야간에 급히 약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마련됐다.

이 제도로 야간에 경증환자에 대한 상담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됐다.

공공심야약국으로 지정되면 정해진 시간에 약국을 운영해야 하며, 정부나 지자체는 야간 운영에 따른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다. 2013년부터 지자체별로 운영하다 2021년 관련 법안이 국회를 통과해 이듬해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인천지역 공공심야약국은 총 32개다. 계양구, 남동구, 미추홀구, 부평구, 연수구에는 각각 5개의 공공심야약국이 있다. 중구는 3곳, 서구와 동구는 2개씩 지정돼 있다.

인천 10개 기초자치단체 중 강화군과 옹진군에만 공공심야약국이 없다. 옹진군은 섬으로 이뤄진 데다 인구와 약국 수가 워낙 적어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기 힘든 구조다. 하지만 강화군은 육지와 이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인구가 6만9천여 명에 이른다. 공공심야약국 2개가 운영 중인 인천 동구(8만7천여명)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강화군에 공공심야약국이 없다 보니 군민들의 심야 시간대 의약품 접근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공공심야약국은 경증환자에 대한 상담 업무도 진행한다는 점에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강화군도 지속적으로 공공심야약국 신청을 독려하고 있지만, 선뜻 나서는 약국이 없다.

편의점에서 기초상비약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심야약국을 찾는 이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게 약국들의 예상이다. 정부나 지자체가 지급하는 인건비가 시간당 4만~5만원으로 낮다는 점도 공공심야약국 신청을 꺼리는 요인 중 하나다.

강화군 관계자는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면 심야 시간대 의약품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며 "공공심야약국 제도를 홍보하면서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나서는 약국이 아직 없다"고 했다. 이어 "휴일 없이 365일 문을 열어야 한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