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탁월한 소양 개발 충분히 포용해야
따뜻한 품성·지배되지 않고 효율적 활용땐
개인주의 아닌 '사람냄새' 가득한 세상 누려

올해 최고의 화두는 '생각하는 AI'인 '생성형 AI'의 출현이다. 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생활에 상당히 밀착하여 다가오는 느낌이다. 삼성전자에서 가장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에 탑재된 AI는 13개 국의 언어를 실시간으로 통·번역할 수 있게 개발되었고, 실제 사용해보니 일상대화는 물론 어려운 말도 대략 뜻이 통하는 수준으로 번역이 되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외국어를 배우기 위하여 고생할 필요가 있는가?'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최근 AI의 발전 속도는 눈부실 정도이다. 2021년 미국의 전 외무장관 키신저(Kissinger), 구글의 전 CEO 슈밋(Schmidt), MIT 학장 허튼로커(Huttenlocher)가 공저를 한 'AI 이후의 세계'라는 책에서 AI가 인간의 생활 전반에 있어서 대단한 큰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였다. 2년이 지난 2023년 키신저 등 3명의 공저자들은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글에서 Chat GPT가 지적혁명(Intellectual Revolution)을 이끌어내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뉴욕타임스는 직업세계에서 AI가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졸업자의 75% 정도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그만큼의 직업군이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기술은 우리가 소화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일과 삶의 현장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AI의 활용으로 많은 것이 편리해 졌지만 인간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더 강해지고, AI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창의적인 사고를 생략한 채 습관적으로 AI에 의존하게 된다. 이런 사회라면 'AI에 지배되는 모습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주도적으로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역량과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첫 번째는 교육현장에서 AI를 이해하고 잘 다룰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초등에서 고등교육까지 학문과 직업세계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역량을 습득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탁월한 인재로 키워내는 것과 더불어 생활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다. 50대 후반의 은퇴한 세대도 30~40년 AI를 활용해서 일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두 번째는 기술발전을 다룰 수 있는 한 차원 높은 수준의 인성과 창의력이다. 사람이 AI보다 탁월할 수 있는 것은 따뜻한 품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발전을 소화할 수 있는 인간적인 소양이다. 도덕적, 윤리적 의식을 함양해주는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적인 이해능력, 동료와 함께 협업공동체를 결성하고 소통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창의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등 인간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소양을 개발하여 AI의 발전을 충분히 포용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
폐지를 가득 실은 리어카를 힘겹게 끌고 가는 노인에게 자신은 비를 맞으면서도 기꺼이 우산과 따뜻한 마음을 내어준 여성을 보면서 AI시대를 맞는 우려에 대한 답을 찾았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따뜻한 품성을 바탕으로 이웃과 연대하고 AI에 지배되지 않고 충분히 활용하여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현재를 살아간다면 '기술 지배의 차가운 개인주의 사회'가 아닌 '사람냄새 가득한 AI를 품을 수 있는 따뜻한 세상'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오덕성 우송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