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추진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 대란’이 장기화(2월26일자 7면 보도)하는 가운데 일부 의대 교수들이 정부와의 토론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나섰다.
다만,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의협 비대위)는 내달 초 수만여명 이상 규모의 의사 집회를 예고하고 나서 이번 사태는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26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은 전날 성명을 통해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에 찬성한다는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23일부터 24일까지 소속 대학교수 201명을 대상으로 증원에 대해 의견을 묻는 설문을 진행했다. 그 결과 증원 반대는 50명(24.9%)에 그쳤고 42명(20.9%)이 의약분업 이전 수준인 350명 증원에 찬성했다. 50명(24.9%)은 500명 증원, 10명(5%)은 1천명, 8명(4%)은 2천명 증원에 찬성했다. 이외는 원칙적으로 증원에 찬성한다고 답변했다. 이들은 이 같은 결과를 공개하며 “정부는 일방적인 증원 정책을 멈추고, 의사단체는 가두시위를 중단하고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회 비상대책위원회 역시 “집단 사직에 나선 전공의들을 의료 현장으로 되돌리도록, 정부가 협박이 아닌 설득과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현재 전공의들의 의사표현방식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라면서 “현장을 떠나는 전공의들을 돌리기 위한 대책은 협박이나 강제가 아니라 설득에 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협 비대위)는 서울시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대정원 증원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확대회의를 열고 오는 3월 3일 2만명 이상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의협 비대위는 정부 측에 ▲의대교육의 질 저하와 의학교육의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는 의대정원 2천명 증원 추진 중단 ▲국민의 자유로운 의료선택권을 침해하고 의사의 진료권을 옥죄는 불합리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의 추진 중단 ▲의료계와 합의하여 의대증원 정책 추진을 요구한 결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