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TP 올해 사업 77개·140억 ↓
市, 120억 늘려 삭감 충격 최소화
초기·고도화 단계 보호막없어 우려

정부의 '창업성장 지원사업' 예산 삭감 불똥이 인천 벤처·스타트업계에도 튀었다. 초기 창업 과정을 거쳐 사업을 본 궤도에 올리려던 스타트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인천의 한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은 2년 단위의 지원사업 종료를 앞두고 걱정이 크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창업성장 지원사업 예산을 대폭 줄이면서 새로운 지원사업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중기부는 지난해 말 2024년도 예산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창업성장 및 기술혁신 지원사업 과제 중 24개를 삭감 대상으로 편성하고, 사업 참여 기업에 제공되는 예산도 전년 대비 50%씩 줄이기로 했다.

벤처·스타트업 업계가 삭감에 강하게 반발하자 일부 사업 예산을 복구했지만, 소재·부품·장비 등 제조업과 기후 관련 업종 20개 지원사업은 예정대로 큰 폭의 삭감을 피하지 못했다.

중기부는 삭감 대상인 업종에 대해 3년간 이자를 받지 않는 융자 형식의 금융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예산 자체가 줄어든 만큼 앞으로 벤처기업이나 스타트업이 정부 지원을 받을 길이 좁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스타트업 대표 A씨는 "스타트업은 초기 단계뿐 아니라 고도화 단계 지원도 뒷받침돼야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신규 창업 기업에 대한 예산은 올해 들어 늘었는데, 시간이 지나 이 기업들도 똑같은 상황에 놓이면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올해 인천지역 창업 지원사업 관련 정부 예산은 큰 폭으로 줄었다. 인천테크노파크의 올해 스타트업 수탁사업 현황을 보면, 올해 수탁사업(2022·2023년 이월사업 포함) 관련 정부 예산은 574억4천900만원에서 430억2천300만원으로 140억원 넘게 줄었다. 같은 기간 수탁사업의 수도 339개에서 262개로 77개가 줄었다.

그나마 인천시 지원 예산이 지난해 1천579억원에서 올해 1천698억원으로 120억원가량 증가해 전체 사업 예산의 대폭 삭감은 피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초기 단계에서 성장·고도화 단계로 사업 규모를 키우는 스타트업의 보호막이 사라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인천의 한 창업지원 기관 관계자는 "예산이 삭감되면 지원 대상 스타트업 숫자도 당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3~4월 중으로 새로운 지원사업을 신청할 계획인 기업 중 (예산 삭감으로) 선정되지 못하는 기업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