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광명시을 선거구의 경선이 친명계(친이재명계)와 비명계 간의 대리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특히, 정치에 입문한 1년도 채 안 된 정치신인이 사실상 지역 맹주 격인 현역 의원과 공천권을 놓고 경쟁을 벌이면서 마치 ‘다윗과 골리앗 싸움’으로 비춰지면서 지역 정가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대’ vs ‘서울대’
민주당 전략공천관리위원회는 지난 1일 광명시을 선거구에 대해 양기대(61) 국회의원과 영입인재 24호인 김남희(46) 변호사 간 2인 전략경선을 확정했다. 두 명 모두 서울대학교를 나와 서울대 동문이다.
양기대 의원은 전북 군산 출신으로 전주고와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1988년 4월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해 2003년 연말까지 16년가량을 기자로 활동하며 1991년 세무공무원 비리 등 수차례 특종을 보도하기도 했다.
2004년 17대 총선과 2008년 18대 총선에 도전했지만 낙선하고 2010년 6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도전, 16대 광명시장에 당선됐으며 17대 광명시장을 거쳐 2020년 4월 21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정치 신인인 탓에 김남희 변호사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편이다. 서울 출신으로 한영외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법대를 입학한 김 변호사는 인권, 복지 분야 전문가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대 법학과 재학 중이던 2001년 사법시험에 합격,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근무했고 2011년 시민단체 활동가로 변신해 참여연대 복지조세팀장으로 2020년까지 일했다.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임상교수로 공익소송과 공익입법 관련 강의도 3년간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비명’ Vs ‘친명’
양기대 의원은 민주당 내에서 대표적인 이낙연(현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계로 분류된다. 이 대표와 같은 호남 출신인 데다 동아일보에서 함께 근무하면서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양 의원은 2022년 20대 대선후보 경선과정에서 이 대표 캠프의 조직총괄본부 수석부본부장으로 활동한 경력으로 인해 이 대표와 동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오히려 양 의원은 맨 먼저 공개적으로 이 대표의 민주당 탈당을 만류하는 등 지금까지 굳건히 민주당을 지키고 있다.
반면, 2023년 민주당 김은경혁신위원회 위원 겸 대변인으로 정치에 입문한 김남희 변호사는 이번 4·10 총선 인재영입 24호로 영입됨에 따라 자천타천으로 친명계로 분류된다.
더욱이 대표적인 친명계로 양 의원 자객을 자처하면서 예비후보 선거운동을 벌였던 양이원영 의원이 김혜민 예비후보와 함께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으면서 친명임을 공고이 한 셈이다.

■경선 가·감산 비율
현역의원과 정치신인의 경쟁은 경선 가·감산 비율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 정가에 따르면 양기대 의원이 선출직 공직자 평가에서 하위 20%에 속했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돌고 있다. 평가 결과가 본인에게만 통보됐기 때문에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지역 내에서는 마치 기정사실화로 확산되고 있다.
만약 양 의원이 하위 11~20%에서 속했다면 양 의원은 -20%를 패널티를 받게 된다. 여기에 김남희 변호사가 25%의 여성 가점을 받기 때문에 양 의원의 지지율이 60% 이하로 득표할 경우, 결과는 뒤바뀐다.
더욱이 양 의원이 하위 10%에 포함돼 -30% 감점을 받게 될 경우, 김 변호사가 36% 이상 득표하면 다윗이 골리앗을 꺾는 파란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국민경선’ vs ‘국민참여경선’
광명시을의 경선 방식이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뀐 것을 놓고 지역정가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 1일 전략공천관리위원회가 광명시을의 경선 방식을 국민경선(안심번호선거인단 ARS투표 100%)로 결정했었지만 다음날 최고위가 국민참여경선(권리당원선거인단 50% + 안심번호선거인단 ARS투표 50%)로 변경하면서 양측의 유불리가 엇갈리고 있다. 경선일도 8~10일로 당초보다 2일이 미뤄지면서 상대적으로 김 변호사에게 다소 시간적 여유를 주게 된 것으로 평가된다.
양 의원이 광명시장 재선 출신인 만큼 지역 내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국민경선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지역 기반이 약한 김 변호사는 결과를 뒤집기 하기 위해선 친명 지지를 결집할 수 있는 국민참여경선이 바람직하다.
한 지역 정치인은 “경선 가·감산 비율과 경선 방식 변경되면서 변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면서 “현재 상황에서는 누가 본선거에 나갈 것인지 예측하기 어려워 뚜껑을 열어봐야 후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