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의 나라, 덴마크에서 배운다·(下)] 해상풍력, 왜 인천을 선택하는가
100㎞내 해역 20~50m 설치 적합
송전선로 구축비 타지역比 낮아
구도심·섬지역 산업연계 구상도
'2045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인천시는 그 실천 방안으로 해상풍력에 주목하고 있다. 석탄화력에 의존하는 지금의 발전 체계를 해상풍력으로 전환해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해양도시 인천은 해상풍력단지를 구축하기에 매력적인 도시다. 인천 연안에서 100㎞ 거리 이내 해역 대부분의 수심은 20~50m로,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인천 앞바다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가까워 송전선로 구축 비용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 적게 든다. 전력망 구축이 수월해 최적의 해상풍력 입지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석탄화력 발전에 의존하는 인천이 탄소중립을 이루려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 재생에너지 가운데 대규모 단지 구축이 가능하면서 발전 효율이 높은 건 해상풍력이다. 인천시는 낙후한 구도심(중구·동구)과 도서지역(옹진군)에 해상풍력 관련 산업을 연계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인천경제에 새로운 산업을 도입해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2030년까지 기존 석탄화력으로 소비되는 인천지역 수요전력량을 해상풍력 기반의 재생에너지원으로 완전히 대체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6천200㎿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밑그림을 그렸다.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데 대규모 재원이 필요하다. 인천시는 민간과 공공 주도 단지 조성을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민간 주도 해상풍력단지는 5천㎿ 이상으로 계획됐다. 인천에서는 CJ 계열 씨엔아이(C&I)레저산업이 2020년 9월 인천 굴업도 해상을 대상으로 한 233㎿ 규모의 발전사업 허가를 받으며 인천 해상풍력사업의 스타트를 끊었다.
이후 한국남동발전이 2021년 10월 용유·무의·자월도 일대 320㎿에 대한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고, 가장 최근엔 오스테드가 옹진군 덕적도 서쪽 50㎞·35㎞ 해상 두 곳에 800㎿씩 총 1천600㎿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으로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다.
덴마크 현지 시간으로 지난달 22일 코펜하겐 오스테드 본사에서 만난 토마스 투너 앤더슨(Thomas Thune Andersen) A/S 이사회 의장은 "인천이 해상풍력 발전에 적합한 최적지인지 확인했고, (바람에 대한) 과거의 데이터와 최근의 과학적 증거를 결합해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며 "인천은 재생에너지 강국이 될 가능성이 높은 도시"라고 평가했다. 오스테드가 인천 앞바다를 사업 대상지로 선택한 이유다.
오스테드는 해상풍력사업 대상지에 속한 옹진군 일대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오스테드는 인천 해상풍력 자체 수익(예산)을 활용해 '특별 주민참여사업'을 만들고, 덕적도에 300억여원을 투자해 해상풍력단지용 유지보수기지(O&M 센터)를 건설한다는 내용으로 최근 인천시와 협약을 맺었다.
해상풍력사업으로 영향을 받는 어민들에게는 사업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어촌 가구의 수익을 증대시키겠다는 게 인천시와 오스테드 구상이다.
→ 관련기사 (풀어야 할 세가지 숙제 '주민 설득·변화 대비·정책 지지')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