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약' 엇갈린 경기도 정치권


오세훈 서울시장 "도내서 참여땐 재원 분담"… 비율 논란 등 갈등 계속
국힘·개혁신당, 도입 피력 등 긍정 반응… 민주 "지자체장끼리 합의를"


기사안.jpg
기후동행카드 사용하는 시민. /연합뉴스

기후동행카드를 두고 벌어진 서울시와 경기도의 공방 속에, 이와는 별개로 이를 총선 공약으로 활용하려는 정치권의 셈법이 시작됐다.

경기도와 서울시 신경전의 시작은 지난달 21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발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 시장이 "기후동행카드에 경기도 지자체가 참여하지 않는 것은 경기도가 도와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하자,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다음날인 22일 기자회견을 열어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며 "서울시가 도내 지자체들의 참여를 종용해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고 맞받아쳤다.

오 시장은 이에 그치지 않고 "경기도 지자체가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면 재원을 서울시가 60%, 시·군이 40% 분담한다"며 재원 분담 비율을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했지만 지난달 29일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6대4라는 비율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어느 곳에서 교통수단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재정 분담 비율이 달라진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이에 경기도는 서울시에 정확한 설명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김포시·과천시·군포시 등은 서울시와 아직 구체적 협의까지 이뤄지지 않았으며 이용자들의 실제 이용패턴에 따라 재원분담비율 변동 폭이 커 정확하게 예측하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갈등 속에 경기도 후보들은 경기도의 뜻(?)과 맞지 않게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공약 중이다.

'수원정'에 출마한 국민의힘 이수정 예비후보는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을 직접 찾아 기후동행카드 동참을 논의하며 "구체적 비용 등은 지자체장끼리 논의해야 할 사안이지만, 수원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이 많기 때문에 저는 중간에서 다리를 놔 드리겠다는 의미"라며 "교통 편의를 위해 지하철 3호선 연장과 함께 기후동행카드 합류를 요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안양·평택 지역 등에서도 기후동행카드가 총선 공약으로 등장했다. 안양만안에 단수공천된 최돈익 예비후보는 "안양시민 편의를 위해서라면 긍정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지난 4일 '화성을' 출마를 공식화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또한 "여당 기초단체장 중심으로 협의하고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야당 단체장과도 협의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의 예비후보들은 기후동행카드 활용에 다소 미온적인 입장이다. 광명갑 임오경 의원 캠프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를 공약으로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교통정책은 지자체장끼리 합의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기후동행카드의 대항마로 꼽히는 경기도의 '더(THE) 경기패스'는 총선 후인 5월 시행을 앞두고 있어, 총선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야권 후보들의 아쉬운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교통정책이 정치화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며 "더 경기패스 사업을 준비하는 데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

2024030601000048800005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