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64.9·귤 70.5% 최대상승폭
농민단체 "유통구조 개선 필요"

'금사과·금배'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도 신선과실 물가가 무려 37.1% 올랐다. 그 여파로 지난 1월 6개월 만에 2%대로 떨어지며 둔화세를 보였던 경기도 소비자물가 지수도 한 달 만에 오름세로 전환됐다.
인천시는 상황이 더 심해 신선과실 물가가 50.1% 올랐다. 이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3.4% 상승했다.
6일 경인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도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다. 지난 1월(2.7%) 소비자물가지수가 6개월 만에 2%대를 기록해 둔화세를 보였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 가까이 오른 셈이다.
소비자물가지수가 다시 상승세로 전환한 이유는 농·축·수산물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7.5% 증가했다. 매년 생산량이 떨어지고 있는 사과, 귤 등이 포함된 신선과실 품목은 무려 37.1%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사과는 64.9%, 귤은 70.5%, 배는 60.3%씩 올랐다. 전국 기준 지난달 신선과일 품목의 물가 상승률은 41.2%로 1991년 9월(43.9%) 이후 32년5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경기도보다도 신선과실 품목의 물가 상승률이 큰 인천시는 사과가 전년 동월 대비 106.8%, 배는 112.7%, 귤은 101.4% 각각 올랐다. 1월과 대비해서도 귤은 58.5%, 사과는 17.8% 상승했다.
정부는 3~4월 농축수산물 납품단가 인하에 204억원, 할인 지원에 230억원 등 모두 434억원을 투입하는 등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올 상반기 중 할당관세 물량이 신속히 국내에 유통되도록 업체별 수입 실적 인센티브도 도입한다.
하지만 할당관세로 수입 과일이 대량 유통되면 국내 과일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런 상황이 농가에 고스란히 피해를 주는 만큼 농민단체의 반발도 거센 상황이다.
무분별한 수입 과일 유통을 중단하고 국내 유통 구조를 개선해 물가를 낮춰야 한다는 게 농민단체의 주장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관계자는 "현재 국내 과일 가격은 유통과정에서 2배 이상 뻥튀기 되고 있다. 이런 부분은 전혀 손대지 않고 정부는 수입 과일만 들여올 계획만 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직수입 허용 조치 등 기업만 이윤을 취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