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자 합의와 다른 이율배반적인 행태”
기후동행카드 참여 협조 책임 정면 반박
5월 시작되는 ‘더(THE) 경기패스’에 집중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오세훈 서울시장은 ‘기후동행카드’를 두고 정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최근 기후동행카드를 두고 불거진 경기도와 서울시의 공방에서의 오 시장의 대응을 비판했다.
김 지사는 11일 오후 2시께 열린 경기언론인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오 시장이 (수도권 교통 문제에 대해) 대단히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며 “경기도·인천시·서울시·국토부가 같이 합의했던 내용과 달리 경기도의 협조를 요구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일”이라고 직격했다.
이어 김 지사는 “그동안 수도권 간 교통 문제에 대해 협의한 결과, 지자체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 각각 특성에 맞는 교통 정책을 펴는 것으로 합의를 했다”며 “경기도는 서울의 16배 면적이고, 서울과 달리 농촌지역도 있다.(이러한 상황에 맞춰) 경기도는 ‘더(THE) 경기패스’에 집중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오 시장이 “기후동행카드의 경기도내 지자체의 참여가 저조한 것은 경기도가 협조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경기도에 책임을 묻자,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서울시가 도내 지자체의 참여를 종용해 불편을 야기한다”고 반박했다. 그럼에도 오 시장이 “서울시가 예산을 써서 서울을 생활권으로 하는 도민을 돕는 것인데 경기도가 거절한 셈”이라고 주장했고, 경기도는 “기후동행카드 참여는 시군이 자율적으로 판단할 일”이라는 입장을 반복했다.
특히 더 경기패스의 시행을 앞두고 교통패스 점유율을 높이려는 서울시의 정치적 의도가 의심되자 경기도는 “교통정책이 정치화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는데, 이날 김 지사도 “기후동행카드 공방을 두고 제가 나와서 이야기할 가치조차 없어서 교통국장이 대응한 것”이라며 비판을 가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수도권 통합 교통패스로 조율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 지사는 “수도권 지자체장들끼리는 지난해 11월에 만나고 그 이후로는 없다”며 “중요한 것은 더 경기패스 서비스가 시작되면 도민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준다는 것이다. 버스 지하철 뿐만 아니라 신분당선과 광역버스 등도 포함되고, 전국 어디서나 통용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이원희 국립한경대학교 총장을 좌장으로 김태성 경인일보 정치부장을 비롯해 최원재 경기일보 정치부장, 김기원 인천일보 정치부장, 박일국 SKB 수원방송 정치부장, 정진욱 기호일보 정치부장, 문완태 중부일보 정치부장, 고태현 경기신문 편집국장, 권현 OBS경인TV 수도권에디터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