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이 해외체류 국민이 편리한 국내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목표로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체계 구축·운영 사업’을 실시한다.

재외동포청은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해외체류 국민의 국내 디지털 서비스 접근성·편의성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체계 구축·운영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고 한국 휴대전화가 없는 해외체류 국민들의 비대면 신원확인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업무협약으로 해외체류 국민은 기존처럼 국내 관공서, 재외공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전자여권이나 해외체류 정보 등을 통해 국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재외동포청은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 구축·운영을, 과기정통부는 신원확인 인증서 발급과 이용 지원을, 방통위는 전자여권 등 비대면 신원확인 방법 마련에 협력하기로 했다.

재외동포청 등 유관기관은 실무협의체를 구성·운영해 비대면 신원확인 체계 시스템 고도화, 서비스 제공 대상·범위 확대 등을 하기로 했다.

재외동포청은 올해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 개발, 인프라 구축을 하고 하반기 중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 시범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재외동포청 관계자는 “한국 휴대전화가 없어 디지털 시대에 소외됐던 해외체류 국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해외체류 국민들의 국내 디지털 서비스 이용 확대로 한국에 경제적인 효과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