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환경공단, 내달부터 운영
주민들 눈높이 맞는 정보제공
인천환경공단이 자원순환센터(소각장)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시민이 직접 배워 시민에게 가르치는 '시민 환경해설사'를 운영한다. 올해 시민 4만5천명을 대상으로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견학을 실시해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소각장 확충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환경공단은 공공 소각장과 하수처리장 등에 오는 4월부터 환경해설사를 현장 투입·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인천환경공단은 평생교육 전문기관인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협업해 지난해 11~12월 총 10회차(30시간) 기본과정으로 환경해설사를 50여명 양성했다. 이들은 이달 현장 실습 등을 거쳐 인천지역 소각장 등에 배치돼 시민들에게 환경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인천환경공단은 올해 시민 4만5천명, 내년 5만명을 목표로 시민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인천환경공단이 환경해설사까지 양성해 시민 인식 개선에 나서는 이유는 신규 소각장 건립이 매번 주민 반대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인천의 공공 소각장은 청라(420t/일)·송도(540t/일) 두 곳뿐인데, 오는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돼 소각장 신설이 시급한 상황이다. 인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총 1천500t/일 규모의 추가 소각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시는 수년 전부터 지역 곳곳에 권역별 광역 소각장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민 반대가 극심해 입지조차 선정하지 못했다. 공공 소각장이 건립되지 못하면 민간 소각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처리 비용 인상에 따른 시민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인천환경공단은 지역 주민이 직접 강사가 돼 방문객들에게 소각장의 친환경 시설 등을 설명하고 중·장기적인 주민 수용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청라·송도 소각장의 폐기물 소각 배출가스는 전부 법적 기준치 40% 이하로 관리되고 있다. 소각장에서 기준치 이내로 발생하는 먼지와 녹스, 다이옥신 등 수치도 온라인에서 실시간 공개 중이다.
인천환경공단 최계운 이사장은 "직접 시설을 방문한 시민들은 냄새도 나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 놀란다"며 "시민 환경해설사 운영을 통해 주민 입장에서 주민 눈높이에 맞는 정보제공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시민 환경해설사가 소각장 고정관념 바꾼다
입력 2024-03-11 20:3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3-12 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