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출범 준비 기본계획' 수립
행정·재정·인프라 세분화해 준비
인천시가 2026년 시행되는 2군9구 행정체제 개편을 위해 행정, 재정 등 업무분야를 나눠 단계별로 지원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자치구 출범 준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11일 밝혔다. 인천은 2026년 7월 인구·생활권에 따라 서구를 '서구' '검단구' 2개 구로 나누고, 중구와 동구를 '영종구' '제물포구'(중구 내륙+동구)로 재편하는 법률안이 통과돼 자치구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자치구 출범에 대비한 인천시 세부 지원 방침부터 전담 조직 설치·운영, 인천시·기초자치단체와 협조 체계 구축 방안 등이 담겼다.
인천시는 크게 행정·재정 지원,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3개 분야로 세분화해 행정체제 개편을 준비한다. 행정 지원에는 자치구 조직 설계, 인사 운영, 법정·행정동 조정, 자치법규 정비, 지방공공기관 통합·조정, 민간사회단체 통합·분리, 사무·재산 인계인수 등 업무가 포함됐다.
재정 지원에는 자치구 재정 조정, 예산 편성·결산, 기금 운영, 지방세 승계·처리, 금고 지정 등이 주요 업무로 담겼다. 기반시설 구축으로는 자치구 청사 확보, 정보·통신 시스템 구축, 안내표지판 정비 등이 포함됐다.
인천시는 자치구 출범 준비가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올해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총 3단계에 기본계획 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1단계에 해당하는 올해 상반기에는 타 지역 기초자치단체 통합사례를 확인해 추가로 기본계획에 포함하기로 했다. 행정체제 개편 전 서둘러야 할 정보화 전략계획이나 조직 진단 및 설계, 토지분할 등 용역, 사업 예산을 확보하는 데도 집중한다.
2단계(올해 하반기~내년 상반기)에는 전담조직 설치·운영, 자치구 출범 시 소요 예산 산출, 기반시설 국비지원 사업 발굴에 힘쓴다.
3단계(내년 하반기~2026년 상반기)에는 신설 자치구 조직 인사 작업, 예산 편성, 임시청사 배치계획 수립 및 사전 입주, 전산·통신시스템 구축, 자치법규 입안·입법예고, 사무·재산 인계인수 등을 점검한다.
인천시는 신설 자치구 주민이 원활하게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체제 개편 전인 2026년 상반기부터 임시청사에서 행정업무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은 비슷한 사례가 없었던 만큼, 준비 과정에서 여러 변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남은 기간 인천시, 기초자치단체가 준비 작업에 최선을 다해 새로운 행정체제 개편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2026년 2군9구 행정체제로… 인천시, 분야별 스텝 밟는다
입력 2024-03-11 20:48
수정 2024-03-11 20:4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3-12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