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501000155500016181

봄꽃 만발한 공원은 가족 나들이 하기에 좋은 장소다. 여유롭게 산책을 하고 피크닉을 즐기기도 한다. 하지만 영유아를 동반한 부모들은 화장실을 급히 찾았다가 난감해지곤 한다. 어린이용 대·소변기는 물론 성인용 변기 위에 설치하는 유아용 변기 커버도 찾기 힘들다. 기저귀 교환대를 기대하는 건 사치다. 아이들은 성인용 변기에 앉으면 엉덩이가 아래로 빠져 볼일 보는 동안 계속 잡아줘야 한다. 좁은 칸막이 안에 비집고 들어가니 문 닫기도 힘들다. 아이들은 누가 볼까 불안하고 자세도 불편해 칭얼거린다. 어른 키 높이의 세면대 앞에서는 까치발 어린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참 배려 없는 공중화장실이다.

인천지역 공공기관이 설치한 공중화장실을 살펴보니, 1천446개 중 2.7%인 40곳에만 남녀 화장실에 어린이용 대·소변기가 있다. 10곳 중 7곳은 기저귀 교환대를 볼 수 없다. 어린이용 대·소변기와 세면대 설치가 의무화된 2006년 10월 이후 생긴 254곳 중 남녀 화장실 모두 어린이용 대·소변기를 갖춘 곳은 15개(6%) 뿐이다. 2021년 기저귀 교환대는 설치 의무화 시행 이후 지어진 25곳 중 10곳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2007년 세계화장실협회(WTA)가 창설되고 초대 회장 미스터 토일렛(故 심재덕 전 수원시장)을 배출한 수원은 어떨까. 수원에는 총 635개의 공중화장실이 있는데 410곳은 공공기관에서 관리한다. 남녀 화장실 모두 어린이용 대·소변기를 갖춘 곳은 22개로 겨우 5.5% 수준이라니 다소 충격이다. 기저귀 교환대가 남녀 화장실 모두 설치된 곳은 4곳뿐이고, 여자 화장실에만 설치된 경우는 133곳, 남자 화장실에만 설치된 곳은 단 1곳이다. 여전히 기저귀 갈기는 엄마들의 몫이라는 사회 인식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부부가 함께하는 육아는 외출했을 때 화장실부터가 장벽이다. 저출산 시대에 공공기관마저 어린이용 대·소변기나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할 아기가 적다고 방관한 탓이지 싶다. 지난해 4분기 합계 출산율이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졌다며 정부도 기업들도 아이 낳기를 독려하고 있다. 하지만 여성들의 출산 파업을 멈추려면 아주 사소한 것부터 배려해야 한다. 번뇌가 사라지는 해우소(解憂所)에서 육아가 고행이 되어서야 되겠는가.

/강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