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녹색정의·진보당 기후위기 대응 발표
에너지 전환·친환경 교통·필수에너지 보장
“노동자·여성·장애인 지키는 기후정책 필요”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녹색정의당, 진보당이 인천 유권자에게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발표했다.
15일 오후 2시께 인천 남동구에서 인천 기후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녹색정의당, 진보당이 이 자리에 참여해 22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발표했다. 시민단체 등은 사회적 약자를 고려하는 공약 마련을 제안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기후테크 활성화와 플라스틱 감축을 제시했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기술을 말한다. 더불어민주당 이동학 전 최고위원은 “기후테크 산업을 대한민국의 발전을 이끌 새로운 산업 분야로 보고 투자 확충,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안에 체결될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협약에 대비해 민주당은 지금부터 단계적으로 플라스틱 이용을 줄여가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주도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그린도시 100개 조성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국가 지원 ▲해양쓰레기 저감 대책 마련 등을 공약하기도 했다.
녹색정의당은 인천에 특화된 공약을 내놓았다. 오는 2030년까지 영흥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 비중을 50%로 높이겠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가 고용 불안을 겪지 않도록 정부·기업·노동자가 참여하는 ‘정의로운 전환 위원회’를 꾸려 노동자를 보호하겠다고 했다. 또 친환경 교통정책을 위해 2030년까지 대중교통과 관용차를 친환경차로 바꾸고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월 3만원 통합정기권을 도입하겠다고 했다. 녹색정의당은 인천 부평을에 김응호 예비후보를 냈다.
진보당은 물·전기·가스 등 필수에너지 이용료를 줄이겠다고 했다. 진보당 인천시당 조은구 사무처장은 “적자를 핑계로 필수에너지 이용료를 높이는 것에 반대한다. 물과 전기, 가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은 시민의 기본권”이라며 “농어촌 지역에 열 공급 설비 확대를 지원하고, 노후주택의 냉난방 효율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남동구갑에 출마한 진보당 용혜랑 예비후보는 16~17일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맹성규 의원과 후보 단일화 경선(여론조사 100%)을 치른다.
토론회에 참여한 시민단체 등은 정치권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노동자·여성·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종인 사무국장은 “기후위기로 화재 발생이 늘고 있는데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화재로 사망할 확률이 9배 높다”며 “장애인을 위한 재난·의료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했다. 이어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탄소 감축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저상 전기버스 도입 의무화를 제안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인천본부 이진숙 정책국장은 “영흥화력발전소을 폐쇄하고 한국지엠 산업 전환 과정에서 많은 노동자가 실직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노동자가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했다.
토론회엔 예비 유권자인 청소년도 참석했다. 노준서(인천 선학중 3학년)군은 “어른들이 청소년에게 기후위기 책임을 떠넘기려는 건 아니길 바란다”며 “예비 유권자로서 누가 현실적인 기후정책을 만들어주는지 지켜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