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영흥화력 폐쇄·재생에너지 확대
진, 물·전기·가스 이용료 인하 추진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녹색정의당, 진보당이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발표했다. 지난 15일 오후 2시께 인천 남동구 샤펠드미앙에서 인천 기후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민주당, 녹색정의당, 진보당이 이 자리에 참석해 22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발표했다. 시민단체 등은 사회적 약자를 고려하는 공약 마련을 제안했다.
민주당은 ▲지역 주도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그린도시 100개 조성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국가 지원 ▲해양쓰레기 저감 대책 마련 등을 공약했다.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 합성어인 '기후테크' 활성화와 플라스틱 감축을 제시하기도 했다. 민주당 이동학 전 최고위원은 "기후테크산업을 대한민국의 발전을 이끌 새로운 산업분야로 보고 투자 확충,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녹색정의당은 인천에 특화된 공약을 내놓았다. 2030년까지 영흥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 비율을 50%로 높이겠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가 고용 불안을 겪지 않도록 정부·기업·노동자가 참여하는 '정의로운 전환 위원회'를 꾸리겠다고 했다. 친환경 교통정책을 위해 2030년까지 대중교통과 관용차를 친환경차로 바꾸고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월 3만원 통합정기권을 도입하겠다고도 했다.
진보당은 물·전기·가스 등 필수에너지 이용료를 낮추겠다고 했다. 진보당 인천시당 조은구 사무처장은 "적자를 핑계로 필수에너지 이용료를 높이는 것에 반대한다. 물·전기·가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은 시민의 기본권"이라며 "농어촌 지역에 열 공급 설비 확대를 지원하고, 노후 주택의 냉난방 효율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시민단체 등은 정치권이 기후위기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노동자·여성·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종인 사무국장은 "기후위기로 화재 발생이 늘고 있는데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화재로 사망할 확률이 9배 높다"며 장애인을 위한 재난·의료 대응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탄소 감축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저상 전기버스 도입 의무화를 제안하기도 했다.
민주노총 인천본부 이진숙 정책국장은 "영흥화력발전소 폐쇄와 한국지엠 산업 전환 과정에서 많은 노동자가 실직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노동자가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예비 유권자 자격으로 참석한 노준서(인천선학중 3년)군은 "어른들이 청소년에게 기후위기 책임을 떠넘기려는 건 아니길 바란다"며 "예비 유권자로서 누가 현실적인 기후정책을 만들어주는지 지켜보겠다"고 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