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반발' 불안 고조


전국 40곳중 20곳 참여 결정
제출 일정 자율… 16곳 25일
아주대·인하대 등 동참 의사
간호사들 "업무 과중 더 심화"


0019.jpg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결정에 반발하며 오는 25일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뜻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17일 오후 경기도내 한 대학병원 응급실 입구가 붐비고 있다. 2024.3.1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의대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제출해 '의료 공백'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공의와 의대생에 대한 정부의 강경한 대응에 의대 교수들도 집단 사직서를 제출했다.

경기지역은 물론 인천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포착돼 경인지역 내 의료공백 현실화에 따른 현장의 불안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17일 전국 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에 따르면 서울대·아주대·인제대 등 20곳의 의대 교수들은 지난 15일 비대위 2차 총회를 열고 증원 반대와 전공의 보호를 위한 사직결의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16개 의대 교수들은 25일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나머지 4곳은 현재 집단 행동 여부 등을 묻는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직서 제출은 대학별 진행 일정이 다른 점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하기로 했다. 2차 총회에는 강원대·건국대·건양대·계명대·경상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서면 제출)·부산대·서울대·아주대·연세대·울산대·원광대·이화여대·인제대·전북대·제주대·충남대·충북대·한양대 등 20개 의대가 참여했다. 전국 40개 의대 가운데 절반이 참여한 것이다.

비대위 참석자들은 오는 22일 다시 총회를 열어 진행 사항을 점검하고 추후 일정을 논의하기로 했다.

경기지역에 수련병원을 두고 있는 서울대와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은 이미 사직서 제출을 결의했으며, 인천에서도 한 의과대학 교수회가 동참 의지를 밝히고 나섰다.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회는 성명서를 통해 "정부가 전공의와 의대생들에 대한 탄압을 지속한다면 우리 교수진 역시 사직 등 단호한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필수의료 붕괴를 해결하는 방법은 낮은 의료수가와 진료전달체계 미비 등을 해결하는 것이지 2천명 의대 정원 증원이 답이 아니다. 정부는 잘못된 정책에 반발하는 의사들에게 면허정지 등 협박할 것이 아니라 필수의료 주체인 우리들과 대화를 하는 게 먼저"라고 했다.

이들은 앞서 지난 14일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의과대학 학생 휴학 및 전공의 사직에 대한 의견 수렴 및 결의'를 위한 임시총회를 열어 이같은 성명서를 발표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 교수 또한 집단 사직서를 제출하고 현장을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의료현장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외래진료를 받기 위해 수원시 내 한 상급종합병원을 찾은 70대 후반의 기모 씨는 "교수들까지 사직서를 제출하고 의료현장을 떠나는 건 말이 안 된다"며 "누군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목숨이라도 잃으면 어떡할 건가. 교수와 전공의는 싸워도 환자 곁을 지키며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현장에 남은 간호사들은 의대 교수들의 움직임을 지켜보는 가운데 의료 여건의 악화를 걱정했다. 경기 남부지역의 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A씨는 "전공의 공백을 교수들과 간호사들이 겨우 메우고 있는데 교수마저 떠나면 의료 공백이 더 심해진다. 현장에 남는 간호사의 업무만 과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도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