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원도심 균형발전 42곳 선정
정비계획 수립 예산 50억 필요
"32곳 2차 비용 확보 장담 못해"
인천시가 원도심 균형발전을 위해 지난해 재개발 사업 후보지 42곳을 선정하고 지원 예산을 마련했지만, 정작 군·구에서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정비계획 수립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2차례 공모를 거쳐 총 42곳(1차 10곳, 2차 32곳)의 재개발사업 후보지를 선정했다. 각 구별로는 중구 2곳, 동구 1곳, 미추홀 8곳, 남동구 11곳, 부평구 8곳, 계양구 5곳, 서구 7곳이다.
인천시는 재개발사업 후보지 정비계획 수립에 필요한 비용 절반을 지원하며, 각 구에서 나머지 예산을 부담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인천시가 정비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마련한 예산은 50억원인데, 후보지가 있는 7개 구에서도 총 50억원을 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현재 인천시가 각 구에 교부했거나 교부 예정인 예산은 1차 공모 때 선정된 후보지 10곳에 대한 정비계획 수립비 28억330만원이다. 2차 공모 후보지 32곳은 각 구에서 예산을 세우지 못했다. 각 구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사업비를 확보해야 한다.
현재까지 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한 후보지는 서구 1곳(석남5구역)이며, 오는 5월 동구 1곳(화수아파트 일원)이 예정돼 있다.
각 구에서는 한정된 예산과 인력으로 동시다발적 정비계획 수립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A구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해 1차 공모 후보지에 대한 정비계획 수립 용역비도 겨우 마련했다"며 "2차 공모는 후보지가 더 늘었다. 추경에 반영되도록 건의는 하겠지만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B구 관계자는 "후보지는 선정됐지만 전부 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할 수는 없다"며 "예산 마련은 둘째로 쳐도 사업을 담당하는 직원이 부족하다. 정치권 및 지역 주민들이 자신들 구역부터 정비계획을 추진해달라고 민원을 넣어 우선순위를 정하기도 힘들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비계획을 빠르게 수립한다고 재개발이 속도를 내는 게 아니다. 각자 상황에 맞춰 정비계획이 우선 만들어져야 하는 구역을 선별해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실무자 입장에서는 민원이 곤혹스럽지만 연도별 실행 가능한 구역을 정해 예산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돈도 사람도 없다" 인천 재개발 후보지 속앓이
입력 2024-03-20 20:30
수정 2024-03-21 13: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3-21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