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201000237500024701

메소포타미아 문명(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부터 이집트 문명(나일강), 인더스 문명(갠지스강), 황하 문명(중국 황하강)까지 물에서 태어났다. 인류 문명은 수로와 댐 같은 관개시설로 홍수와 가뭄에 대응하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발전했다. 이집트는 기원전 2천550년 나일강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댐 사드 엘 카파라댐을 축조했다. 나일강은 홍수가 규칙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범람을 예측하는 달력을 만들어 대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지구는 물 변덕이 극심하다. 여지없이 사람 탓이다.

물은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다. 그러나 물의 97.5%는 바닷물이고, 식수로 사용 가능한 담수 자원은 2.5%뿐이다. 그 담수의 3분의 2는 북극과 남극의 빙하에 갇혀있고, 사람이 손쉽게 사용 가능한 담수 자원은 매우 제한적이다. 불행하게도 이 담수는 지구상 모든 국가에 골고루 분배되어 있지 않다. 지난해 3월 유엔 발표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4분의 1인 약 20억명이 대소변에 오염된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이로 인해 숨지는 사람이 한 해 140만명에 달한다. 오늘(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다. 주제는 '세계 평화를 위한 물의 활용'이다. 물도 양극화 시대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인류가 함께 누리려면 각국의 연대와 노력이 필수다.

물자원 절약을 위해 미국인들은 잔디 로망을 포기했다. 2022년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야외 물 사용은 주 2회, 스프링클러 가동은 8분으로 제한하고 위반하면 최대 600달러(약 8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1990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인근 샌버나디노 카운티는 물낭비 1천달러 벌금과 최고 6개월 징역형 조례를 확정했었다. 당시는 해외 토픽감이었으나 지금보니 선견지명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으로 물 스트레스가 85.52%로 매우 심한 나라로 분류돼 있다. 아프리카와 중동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1인당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은 2020년 기준 295ℓ이다.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많다. 유럽 국가와 비교하면 2배 이상이다. 2025년에는 '물 기근 국가'가 될 것이라는 암울한 예측도 있다. 비싼 사과를 '금사과'가 아닌 '물사과'라 부를 날이 올지도 모른다.

/강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