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작가회의, 10주기 특집 관련 글 실어


계간 '작가들' 2024년 봄호 이미지
계간 '작가들' 2024년 봄호 이미지. /인천작가회의 제공

어둠이 쏟아지는 의자에 앉아 있다. 흙 속에 발을 넣었다. 따뜻한 이삭. 이삭이라는 이름의 친구가 있다. 나는 망가진 마음들을 조립하느라 자라지 못하고 밑으로만 떨어지는 밀알. 어둠을 나누고 있다.

이영주 시인의 시 '연대' 전문이다. 시집 '어떤 사랑도 기록하지 말기를'(문학과지성사·2019)의 마지막 시편이기도 하다. "어둠을 나누고 있다"는 이 시의 마지막 문장에서 '어둠'이란 표현은 단순히 빛에 대비되는 것을 가리키는 의미일까.

김태선 문학평론가는 계간 웹진 '작가들' 2024년 봄호(통권 88호)에 쓴 '그날 이후, 서로의 어둠을 나는 깊은 일-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문학의 흐름'에서 이 어둠은 몇 마디 말로 단순하게 가리킬 수 없는 깊은 무언가를 이른다고 했다.

깊은 바다로 침전한 "어둠이 쏟아지는 의자에 앉아" 그 어둠을 함께 나누는 이는 "따뜻한 이삭"이다. '이삭'은 곡식의 낟알이나 과일 등 열매를 가리키는 표현이기도 하고, 기독교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이기도 하다. 2014년 4월16일 그날, 다시 돌아올 수 없게 된 한 사람의 이름이기도 하다.

김태선 평론가는 이 시의 목소리가 스스로를 일컬어 "자라지 못하고 밑으로만 떨어지는 밀알"이라 했듯, 그날과 그날 이후 "망가진 마음"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지 못함을 고백하지만, 다만 그 곁에서 함께 쏟아지는 어둠을 맞으며 "어둠을 나누"며 곁에 있고자 한다고 봤다. 그는 "그럼에도 고통받는 존재 곁에 함께 자리해 그 목소리를 듣는 일, 그에 관해 침묵하지 않는 일은 문학의 중요한 덕목이자 책무 가운데 하나"라고 했다.

인천작가회의가 발행한 계간 '작가들' 2024년 봄호는 세월호 10주기 특집으로 세월호와 함께한 이들의 글을 실었다.

'304낭독회' 일꾼으로 활동했던 김태선 평론가는 이영주·안현미·진은영·이영광·김현의 세월호에 관한 시와 황정은의 소설을 읽으며 "남은 전 생애로 그 바다를 견디"며 어둠을 나누는 깊은 일을 이어가자는 염원을 이번 글에 담았다.

'기억의 걸음들로 함께 새긴 4·16 세월호 참사'를 쓴 오시은 작가는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키는 어린이문학인들' 활동 10년을 정리했다. 활동가 은하는 자원 활동부터 세월호 참사 대학생 연대체, 사회적참사 특조위 활동까지 이어진 시간을 회상하는 글 '각자의 삶 속에 노란 리본을 달고'를 썼다.

계간 '작가들' 홈페이지(webzinewriters.com)에서 읽을 수 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