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게(착한가격업소)들의 경영난이 주목된다. 치솟는 물가에 경기침체까지 겹쳐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고물가를 못 견딘 업주들이 자발적으로 착한가게 간판을 떼고 있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착한가게 숫자가 2021년 6월 231개에서 지난해 말에는 218개로 감소했다. 작년에는 착한가게 14곳이 적자 누적으로 문을 닫았으며 8곳은 가격 인상을 이유로 '착한가격업소' 인증을 반납했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도 착한가게 숫자가 2020년 333개에서 2021년 318개소, 2022년 305개소로 줄었다.
2011년부터 행정안전부와 지자체들이 동네 맛집, 미용실, 세탁소 등의 가격, 위생, 서비스 등을 종합평가해서 착한가게들을 선정하고 있는데 지정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평가항목인 가격이 해당 점포가 위치한 상권의 평균 가격보다 낮아야 한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서민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가게 입구에 파란색으로 '착한가격업소'라는 푯말이 붙어 있어 식별이 가능한데 소비자교육중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착한가게의 가격은 타 업소에 비해 무려 20∼30%나 저렴하다. 품질도 못지않다. 점포 대부분이 지역에서 가격 인상 없이 장기간 장사해온 곳으로 이용객은 주로 동네 단골손님들인 것이다. 근래 착한가게를 찾는 서민들이 늘고 있다.
전국적으로 외식업체 5천여개, 기타 개인 서비스업 2천여개 등 총 7천여개인데 행정안전부는 올해 중에 착한가게 숫자를 1만여개로 늘릴 계획이나 성과는 의문이다. 착한가게로 지정되면 대출금리·보증수수료 감면, 상하수도 요금감면, 쓰레기봉투 제공 등에다 얼마 전부터 국내 9개 카드사와 업무협약(MOU)을 맺어 신용카드로 1만원 이상 결제 시 2천원 캐시백도 시행 중이다. 그러나 인천에서 음식점을 경영하는 N씨는 "착한가게 등록 10년이나 지금까지 지원받은 것은 쓰레기봉투와 주방 세제가 전부"라며 푸념하고 있다. 고물가 시대에 '착한가격업소' 푯말이 주홍글씨처럼 부담스럽다.
저성장, 고물가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개연성이 크다. 착한가게는 골목경제 회생은 물론 물가 안정에도 일조하는 등 다다익선이다. 실효성 있는 대책으로 기존 점포들의 이탈부터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