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앞두고 정치권 술렁


수원-화성, 이전 문제 대결 구도
같은 당끼리도 정반대 공약 등장
경기도 정책 방향 맞물려 대혼란
경기남부권 최대 이슈로 떠올라

 

수원군공항_전경.jpg
수원 군 공항 전경. /경인일보DB

수원과 화성의 해묵은 지역 현안인 '수원 군 공항 이전'이 총선을 맞아 복잡한 방정식이 가동되면서, 경기남부권 최대 이슈중 하나로 떠올랐다.

여·야의 문제가 아닌 지역 간 갈등 사안이 총선 중요 공약에 등장하면서, 같은 당내에서도 이를 두고 찬반이 엇갈리며 같은 목소리는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특히 수원에서는 여·야가 그동안 이전이 이뤄지지 않은 부분에 대한 '네탓' 공방까지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 사업인 '경기국제공항'과도 여·야의 공약이 맞물려 있는 상태여서, 이를 풀어낼 수 있는 방안이 뾰족히 보이지 않는다.

이 사안을 간단히 나누면 수원 지역 출마자들은 군 공항 이전, 화성 지역 출마자들은 결사 반대로 요약된다.

더불어민주당 수원 지역 후보들과 국민의힘 수원 지역 후보들은 각각 지난 14일과 27일 기자회견을 열어 수원 군 공항 이전 관련 공약을 발표했다.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양당 모두 수원 군 공항을 화성으로 이전하겠다는 데는 주장이 같다.

수원지역 출마자들은 이전 후보지인 화성(화옹지구) 이전이 아니더라도 수원 군 공항의 타 지역 이전을 이뤄내겠다고 주장하면서도, 막상 중요한 이전 대상지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화성갑 지역구 민주당 송옥주 의원과 국민의힘 홍형선 후보는 "경기국제공항은 수원 군 공항 이전을 위한 정치적 속임수"라며 "화성 이전을 막겠다"는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 문제와 관해서는 여·야가 있는 게 아니라, 수원과 화성이라는 지역만 있다"며 "당에서도 이를 조율하지 못해, 같은 당 내에서 서로 정반대의 공약이 나오는 웃지 못할 상황"이라고 전했다.

4년 전에도 이 같은 상황이 판박이처럼 벌어졌다. 지난 21대 총선에서도 수원 지역구 여야 모두 군 공항 이전을 공통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를 강력히 추진했던 김진표 의원이 국회의장까지 돼 관련법을 발의하기도 했지만, 끝내 임기내 이전을 이뤄내진 못할 것으로 보인다.

4년 전과 달라진 점 하나는 여기에 경기도의 정책 방향이 더해져, 더욱 복잡한 양상이라는 점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후보시절 경기국제공항 설치를 의견을 받아들여 이를 역점사업으로 추진중인데, 최근 김 지사가 "경기국제공항은 수원 군 공항 이전을 전제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혀, 수원 군 공항 이전과는 별개라는 새로운 의견을 냈다. 여기에 덧대 민주당과 이번 총선에 단일화를 한 진보당 일부는 '경기국제공항백지화공동행동'과 함께 관련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꼬일 대로 꼬인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가, 총선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는 게 이를 바라보는 지역정가의 분석이다. 

 

→ 관련기사 (경기국제공항 후보지 논란… 경기연구원 "갯벌 훼손" 화옹지구 포함 습지공원 주장)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