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중소 수출기업들이 2026년부터 시행되는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CBAM)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인천본부세관이 인천 지역 88개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70개 업체가 CBAM에 대해서 모르거나 대응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CBAM은 EU에 수입되는 제품에 탄소 가격을 동등하게 부과·징수하는 제도로, 수출 기업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을 EU에 보고해야 한다.
인천본부세관은 이번 조사에서 CBAM 대상 물품에 포함되는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전기, 비료, 수소 제품을 유럽지역에 연간 1천달러(약 135만원) 이상 수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CBAM에 대응하지 못한다고 답한 기업들은 제품의 탄소 배출량을 제대로 산출하지 못하거나 CBAM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다는 게 인천본부세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인천본부세관은 인천지역 중소기업이 CBAM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날부터 CBAM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인천본부세관은 CBAM 지원센터를 통해 CBAM 관련 정부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탄소 배출량 산정을 위한 교육·컨설팅을 제공한다.
또 유럽으로 제품을 수출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해결 방안을 마련해 줄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인천본부세관은 이달 18일과 29일 인천무역협회·경기FTA통상진흥센터와 함께 CBAM 컨설팅·설명회를 개최한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인천본부세관 홈페이지(incheoncustoms.go.kr) 공지사항을 참조하거나 CBAM 지원센터 대표번호(032-452-3632)로 문의하면 된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수출 중소기업이 'CBAM' 몰라서야"… 인천본부세관 지원센터 운영
입력 2024-04-08 21:13
수정 2024-04-08 21:1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4-09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