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상반기 가이드라인 배포
진화 사용 장비 부족 문제점 지적
"차량 비율 지속 증가 예상" 우려
화재 진압이 어려운 전기차를 선박에 싣고 운항해야 하는 여객선 업계와 정부 등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8일 "지난해 8~12월 '카페리 선박 전기차 화재대응 태스크포스(TF)팀'을 운영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올해 상반기 중 안전 가이드라인을 새로 배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를 창작한 전기차에 불이 나면 진압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 선박 특성상 차량 등이 다닥다닥 적재돼 있어 전기차에서 화재가 나기라도 하면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6월에도 선박 내 전기차 화재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여객선사 등에 배포했는데, 미비한 점 등이 발견돼 TF팀을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가이드라인에는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과 효율적인 진압 방식,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화물 적재 위치, 화재 감시 방법 등이 담겼으나 보완이 필요하다는 여객선 업계의 요구가 있었다.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에서는 자월도, 승봉도, 이작도, 덕적도 등을 오가는 배에 차량을 적재하고 있다. 중구 삼목선착장~옹진군 장봉도 등 섬과 섬을 오가는 여객선에도 차량이 실리고 있다.
여객선 업계에서는 최근 1t 트럭 등 전기차 적재가 늘면서 화재 피해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객실과 먼 곳에 전기차를 배치하거나 진화에 사용하는 질식소화포 등을 구비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인천 한 여객선사 관계자는 "배에 적재하는 전기차 비율이 2~3% 정도로 높지는 않지만,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질식소화포 등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장비를 구비했지만, 모든 선사가 갖춘 것도 아니다. 정부에서 대응책을 마련하고 관련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전기차 선박내 화재 위험' 여객선사 고심
입력 2024-04-08 21:07
수정 2024-12-10 19:18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4-09 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