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등 일부 제품서 발암물질 검출… 지자체 '적극 대응' 한 목소리
별도 안전성 검사 없어 허점 작용… 道 "취급물품 많아 제도적 한계"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일부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4월8일자 6면 보도=중국서 넘어온 알리·테무 장신구 '발암물질 직구' 판명) 이를 접한 구매자들 사이에서 유해물질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하고 있다. 경기도 등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천세관은 귀고리, 반지 등 장신구 제품 404점 중 96점에서 국내 안전 기준을 초과하는 카드뮴, 납 등의 발암 물질이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제품에서 검출됐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서울시 역시 31개 제품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8개 어린이 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전했다.
급작스런 소식에 해당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이들의 불안감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성남시에 사는 직장인 신모(34)씨는 최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스포츠 양말과 사진첩을 구매했다. 스포츠 양말 5쌍에 3천680원, 사진첩은 1천6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배송비 또한 무료였다. 제품의 퀄리티도 가격 대비 좋아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일부 제품에서 검출됐다는 소식에 불안해하고 있다. 그는 "설마 양말과 사진첩에서도 발암물질이 나오겠느냔 생각이 들지만, 신체와 접촉하는 제품에서 발견됐다고 하니 찝찝하고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개인이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해외직구 제품을 구매할 경우 별도의 안전성 검사 없이 국내에 반입될 수 있다는 허점이 있다.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액이 지난 2022년 5조3천억원에서 지난해 6조8천억원으로 성장한 가운데, 직구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일선 지자체에선 검사 강화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우리 도가 실시하는) 안전성 검사의 대상 품목은 사회적 이슈가 되거나 소비자 피해 상담이 접수돼 문제가 될 만한 것 중에 선정한다"며 "해외직구 플랫폼 업체의 경우 워낙 취급하는 물품이 많은데다, 검사 대상 품목도 중앙부처나 타 지자체에서 검사하지 않은 제품 중에서 선정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해외직구 플랫폼 업체는 판매 제품의 안전성 기준을 국내에 맞추겠다고 했다. 알리익스프레스 관계자는 "최근 보도된 상품들에 대한 내부 조사를 시작했다"면서 "안전 인증이 필요한 상품의 인증 기준이 한국의 요구 사항보다 부족한 경우에는 알리익스프레스 플랫폼에서 즉시 삭제 조치할 예정이며, 관련해서 모니터링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