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0 장애인의 날을 이틀 앞둔 18일 장애인단체와 시민들이 인천시에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18일 오후 2시께 인천애뜰에서 장애인차별철폐 인천투쟁대회가 열렸다. 인천지역 장애인 단체 등 27개 단체로 구성된 ‘420 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은 이날 행사에서 인천시에 장애인 정책 31개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행사는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가 꾸린 노래모임 ‘불협화음’의 공연으로 시작됐다. 이들은 저상버스를 확대하고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 수도권 광역이동 등을 지원해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라고 했다. 또 노동권과 교육권을 지키기 위해 발달장애인에게 평생교육을 보장하고, 권리 중심 중증장애인을 위한 공공 일자리를 창출하라고 요구했다.
또 장애인이 지역 사회에 녹아들어 한 명의 구성원으로 자립하기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자립생활 주택·정착금 확대 등을 인천시에 제안했다.
인천장애인차별철페연대 주재영 상임대표는 “이동, 교육, 노동은 장애인이 시민의 한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권리로 20년 넘게 요구했으나 변화는 없었다”며 “곧 출범하는 22대 국회가 장애인 권리보장법, 장애인 탈시설지원법, 장애인 평생교육법 등을 제정하길 바란다”고 했다.
참가자들은 행사를 마치고 ‘장애인에게 권리를’, ‘차별은 이제 그만’, ‘혐오는 쓰레기통에’ 등의 구호를 외치며 인천지하철 1호선 인천터미널역까지 행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