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응답결과 "보조인력 부족·학교 눈치 등 주된 이유" 지적


ㄹ3.jpg
사진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차량에 탑승하는 모습. /경인일보DB


인천지역 장애 학생 4명 중 1명은 수학여행이나 현장학습 등 학교 외부 활동을 가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학생 가정 지원과 인천 특수교육 정책 개선을 위해 구성된 시민단체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는 18일 '장애 학생 외부 활동 차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장애인의 날(4월20일)을 앞두고 추진된 이 조사는 외부 활동에서 미세한 차별을 겪는 장애 학생들의 현실(4월17일자 6면 보도=현장학습 눈치보는 장애학생 가족… 지원인력 늘려 움츠린 마음 보듬자)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4월 3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진행됐다.

장애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 42명이 응답한 조사에서 인천지역 학교에 다니며 외부 활동에 참여해 본 적이 없는 장애 학생은 11명(26.2%)이었다. 이 중 5명은 '학교 눈치가 보여서', 3명은 '보조 인력이 없어서', 2명은 '부모 참여를 권유해서', 1명은 '아이가 가기를 원하지 않아서'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 번이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 학생은 31명(73.8%)이었다.

교내 보조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장애 학생이 학교 외부 활동에 같은 반 친구들과 함께하지 못한 사례도 있었다. 한 학부모는 기타 의견에 '학교에 보조 인력이 특수교사 한 명뿐이라 학년별 일정이 겹칠 때는 고학년을 따라간다. 밖에서 아이 혼자 다니라고 할 수 없어 자기 학년이 아닌 고학년 일정에 동행하도록 했지만 아쉬웠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학부모들은 '학교별 보조 인력이 더 필요하다'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채용하는 보조 인력 인건비까지 인천시교육청이 지원해야 한다' '보조 인력을 충원해 장애 학생들도 가까운 곳이 아닌 조금 거리가 있는 체험학습 현장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등의 의견을 냈다.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는 "인천시교육청이 장애 학생의 차별 실태를 면밀히 살펴 달라"며 "장애 학생들의 외부 활동뿐 아니라 교내 이동과 수업 참여는 자유로운지, 개별화교육(장애 유형·특성에 맞는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 실시하는 교육) 회의에 학부모들이 적절히 참여하고 있는지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