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에 인수되려 경쟁 과열
폐기물 가격 치솟아 손해 막심


경기도 폐기물 처리 업체들에 대한 대기업·사모펀드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자(4월16일자 1면 보도='블루오션 각광' 몸집 불리는 폐기물처리업체들), 불똥이 영세한 지역 폐기물 처리 업체에 튀는 모양새다.

사모펀드 업계의 눈에 들기 위해 일부 업체들이 몸집을 불리려는 움직임이 폐기물 물량 확보를 위한 경쟁 과열로 번진 것이다. '치킨 게임' 양상으로까지 치닫자 행정 영역에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일선 지자체들도 난색을 표하고 있다.

18일 지역 폐기물 처리 업계에 따르면 각종 폐기물의 경우 대체로 지자체 산하 자원순환센터가 일괄 수거한 후 종류별로 입찰을 통해 업체들에 매각하고 있다. 가장 최고가를 써낸 업체가 물량을 확보하는 구조다. 일부 업체는 이를 활용해 시장 평균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써내면서 물량 확보를 추진하는 모양새다. 처리 실적을 높이기 위해 손실을 감수하고 배팅에 나선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장 평균 가격보다 잇따라 입찰 가격이 상승하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일례로 시장 평균 가격이 1㎏당 80~90원선인 미선별 플라스틱의 경우 지난해 11월 한 지자체가 입찰에 부친 결과 1㎏당 127원에 낙찰됐다. 한달 뒤 입찰을 진행한 다른 지자체에선 높게는 1㎏당 2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영세 업체들은 고사 직전에 놓였다고 하소연한다. 규모가 큰 업체든, 작은 업체든 폐기물 처리 물량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지속해나갈 수 있다보니 손해를 볼 걸 알면서도 높은 값을 써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폐기물 처리 업체 관계자는 "1㎏당 80원에 폐기물을 사온다고 해도 운송비와 인건비가 높아져 수익이 줄어드는 상황인데 200원 목전까지 오르면 오히려 손해다. 그렇다고 처리할 폐기물이 없으면 아예 사업장을 가동할 수 없으니 손해볼 걸 알면서도 사와야하는 입장"이라고 토로했다.

지자체가 입찰가에 상한선을 두거나 계약 이후 금액을 적정수준으로 조정하는 등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지자체도 이런 상황이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입찰 자체에 문제가 없는데 높은 가격을 써냈다는 이유로 제재할 순 없는 일"이라며 "가격이 너무 높게 형성되면 폐기물 처리 업체들의 동력이 떨어지고, 장기화되면 폐기물이 제때 처리되지 않는 일마저 벌어질 수 있어 우리도 이런 상황이 반갑진 않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