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역사 내 집화센터 설치… 일괄계약으로 배송비 절약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도시철도 역사에 소상공인 택배 집화센터를 설치해 배송비를 낮추는 '소상공인 반값택배'를 운영한다.
인천시가 지역 소상공인들 택배를 한데 모아 택배회사와 일괄 계약하기 때문에 큰 폭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국내외 대형 업체들의 온라인 유통시장 진출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천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인천시, 인천소상공인연합회, 인천교통공사는 18일 인천도시철도 1·2호선 역사에 소상공인 택배 집화센터를 설치·운영하는 내용의 소상공인 반값택배 지원사업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사업은 소상공인의 물류비 절감과 매출 증대를 목표로 추진된다. 인천시가 2022년부터 시행 중인 '차량 간 통신기술(V2V) 기반 공유물류망을 통한 당일배송 서비스'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구축을 통한 공유물류 서비스'를 한층 확대하는 개념이다.
인천시는 우선 오는 10월부터 내년 6월까지 인천 1·2호선 30개 역사에 소상공인 택배 집화센터를 만든다. 내년 7월부터는 인천 1·2호선 57개 모든 역사에 집화센터를 설치하겠다는 게 인천시 계획이다.
소상공인이 각 집화센터에 물품을 가져다 놓으면, 집화원이 물품을 수거해 배송하는 방식이다.
물품은 도시철도 집화센터에서 중간 집화센터로 옮겨진 뒤 지역별 분류 작업을 거쳐 곧바로 배송된다.
소상공인은 시장 평균가격인 3천500원 대비 50%가량 저렴한 1천500원을 내고 반값택배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천시가 지역 소상공인들의 택배를 한데 모아 택배회사와 계약을 맺기 때문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1개 업체당 연간 최대 120건의 반값택배를 이용할 수 있다.
소상공인이 직접 집화센터를 방문하기 어려우면 2천500원을 내고 업체 방문 수거를 요청할 수도 있다. 방문 수거는 업체당 연간 한도 없이 신청할 수 있다.
인천시는 집화센터 설치 등 운영 시스템 구축 후 2027년부터 반값택배 이용 대상자를 인천시민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반값택배는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가계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한 제도"라며 "도시철도, 전기화물차를 활용한 친환경 집화 시스템으로 기후위기에도 대응할 새로운 정책"이라고 했다.
한편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구축을 통한 공유물류 서비스 실증사업은 계속된다.
이 사업은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를 만들고 전기화물차로 소상공인 택배를 한데 모아 공동 배송하는 방식으로 비용 절감, 배송 속도 향상 등 장점이 있다. 배송비는 시장 평균가격(일반배송 기준 3천500원)보다 낮은 2천500원이다.
인천·서울·부천을 중심으로 한 당일배송비는 3천500원(시장 평균가격 4천400원)이다.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사업은 지난해 국토교통부 실증사업으로 시작했다가 지난 2월부터는 인천시 자체 사업으로 전환됐다.
인천시는 올해 7억원을 투입해 1천개 업체를 지원할 예정이다.
→ 관련기사 (소상공인 공동물류 '저렴한 인천 택배서비스' 인기)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