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CN 두단계 하향 '준위협' 검토에
한·대만등 활동가들 신중 의견 반영
"자연상태에선 개체수 오히려 감소"

버드라이프 "새로운 정보 살필 것"

0032.jpg
16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남동유수지 인공섬에서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들이 둥지에서 최근 태어난 새끼들을 돌보고 있다. 2024.5.16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을 하향 조정하려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한국, 대만, 홍콩 등 세계 저어새 보호 활동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등급 조정을 보류한 것으로 경인일보 취재를 통해 확인됐다.

16일 국제조류보호기구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 측은 경인일보와 서면 인터뷰에서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 조정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전 세계 조류 1만1천종을 조사해 멸종위기 등급에 대한 평가 의견을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제출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1948년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정부, NGO, 시민단체 등 1천400여개의 조직이 가입해 동식물의 멸종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서 활동하는 이안 버필드 박사는 경인일보에 보낸 이메일에서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을 낮추는 것에 대해 전 세계의 저어새 전문가와 환경단체가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며 "이들이 제시한 저어새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의견을 살펴보기 위해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에 대한 최종 결정을 보류한다"고 했다. → 이메일 원문 홈페이지 참조

최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위기(EN)' 등급인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을 두 단계 낮춘 '준위협(NT)' 단계로 낮추기 위한 검토를 벌였다.(5월11일 온라인보도) IUCN은 멸종위기 동물을 멸종위험도 순서대로 절멸(EX), 야생절멸(EW), 위급(CR), 위기(EN), 취약(VU), 준위협(NT), 최소관심(LC), 정보부족(DD), 미평가(NE) 등 9개 등급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4~6년마다 저어새를 포함한 전 세계 조류의 멸종위기 등급을 새롭게 평가한다. 저어새에 대한 평가는 2017년 이후 7년 만이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1995년 400여 마리에 불과하던 저어새가 2022년 6천여 마리로 늘어났으며 개체 수와 서식지 면적 등 IUCN의 멸종위기 등급 기준을 비추어 보았을 때 저어새가 '위기(EN)' 등급에 해당하지 않아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자 저어새가 서식하는 한국, 대만, 홍콩 등 세계 조류 전문가, 환경단체 활동가 등은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을 신중하게 조정해 달라는 의견서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측에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 세계에서 발송된 의견서는 64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인천갯벌세계자연유산등재추진협력단을 포함해 18개나 된다. 이들은 저어새 개체 수 증가는 전 세계 최대 서식지인 대한민국(인천 갯벌 등)을 비롯해 대만과 홍콩, 일본 등 저어새 월동지 국가, NGO, 조류 전문가 등의 인위적인 노력 덕분이며 자연 상태에선 저어새의 수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이 같은 의견을 받아들여 저어새의 멸종위기 등급 조정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인천 등 서해안 일대는 전 세계 저어새의 80% 가량이 태어나는 주요 번식지다. 매년 봄이 되면 저어새들은 인천(남동유수지 등 갯벌) 등을 찾아와 알을 낳고 겨울이 되면 월동지인 홍콩, 대만, 일본 등으로 떠난다.

우리나라 저어새 보호 활동가들은 시민과 함께 저어새가 주로 번식하는 남동유수지를 정비하고 둥지 재료를 가져다 놓는 등 저어새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홍콩, 대만, 일본 등 현지 저어새 보호 활동가들과도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각국 활동가들은 저어새 발목에 '가락지'를 부착해 가락지 색과 알파벳, 숫자로 출생 국가와 출생 시기 등을 구분하고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저어새 보호를 위해 연대하고 있다.

/정선아기자 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