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력공급 수요 대비 불충분
환경설비공사로 가동중단도 문제
인천시, 2030년 폐쇄 지속 건의중

이달 초안이 나오는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에 인천시가 추진 중인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 조기 폐쇄(LNG 전환)가 반영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전력 공급이 수요 대비 충분치 않은 데다 영흥화력 1·2호기 가동 중단이 장기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석탄을 원료로 하는 영흥화력 1·2호기의 LNG 전환 시기를 2034년에서 2030년으로 앞당기는 내용을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했다.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본부에는 1·2호기(2004년), 3·4호기(2008년), 5·6호기(2014년)의 발전 시설이 있다. 앞서 제9차 전기본(2020~2034)에는 1·2호기를 오는 2034년 폐쇄 후 LNG로 전환하는 내용이 담겼다. 민선 8기 인천시는 지난 2022년 영흥화력 1·2호기의 폐쇄를 2030년으로 앞당긴다는 공약을 걸었지만 제10차 전기본(2022~2036)에 반영되지 않았다.
영흥화력 1·2호기 조기 폐쇄는 이달 정부가 초안을 발표하는 제11차 전기본(2024~2038)에도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영흥화력발전본부(5천80㎿)는 현재 수도권 전력의 약 20%를 담당하고 있다. 수도권 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2050년부터 10GW 이상의 전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을 기다리고 있는 인천 송도와 영종 일대에도 지속적인 전력 수요 증가가 전망된다. 가뜩이나 전기가 부족한 상황에 수도권 전력 공급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영흥화력의 기능 축소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영흥화력 1·2호기가 지난 2년간 제대로 가동되지 못한 것도 조기 폐쇄를 앞당기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영흥화력발전본부는 지난 2021년 3월 영흥화력 1·2호기의 환경설비공사를 2천682억원(부가세 포함)에 세아STX엔테크(주)와 계약했다. 이는 2년마다 발전시설 가동을 중단하고 점검하는 '오버홀' 공사로 석탄 야적장에 덮개를 씌우는 '저탄장 옥내화' 공사가 포함됐다. 하지만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자금난에 빠진 세아STX엔테크가 하도급업체에 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면서 지난해 7월 3일 공사가 중단(공정률 58.51%)됐다.
영흥화력발전본부는 지난 2월15일 세아STX엔테크(주)에 계약해지를 통보하고 소송을 진행 중이다. 영흥화력 1·2호기는 2년여간 가동을 멈췄다. 영흥화력발전본부는 오는 8월께 신규 업체와 계약해 남은 공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지만, 1·2호기 가동 중단 기간이 늘어나면서 2030년 조기 폐쇄 결정은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영흥화력발전본부 관계자는 "정부 계획에 맞춰 1·2호기의 2034년 폐쇄를 준비 중"이라며 "LNG 전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폭넓게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제11차 전기본에 1·2호기 2030년 조기 폐쇄가 반영되도록 정부에 지속 건의하고 있다"며 "석탄과 암모니아를 섞어 연료로 활용하는 '혼소' 방식으로 조기 폐쇄와 동등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