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치 ‘임대료 21억’ 겨우 낸 사업자

4천억원 규모 사업 가능성 여부 미지수

사진은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 조감도. /인천항만공사 제공
사진은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 조감도. /인천항만공사 제공

인천항에 첨단 중고 자동차 수출단지인 ‘스마트 오토밸리’를 조성하는 업체가 밀린 토지 임대료를 인천항만공사에 납부했다.

사업자가 마감일에 맞춰 임대료를 내면서 겨우 고비는 넘겼지만, 4천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는 업체가 20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17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인 카마존 주식회사는 2차 납부 기한인 지난 16일 6개월 치 임대료 21억원을 납부했다.

스마트 오토밸리는 중구 남항 배후부지 39만8천㎡(1단계 20만4천㎡)에 총 4천370억원을 들여 친환경·최첨단 중고 자동차 수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2월 인천항만공사와 임대차 계약을 맺은 카마존은 1년 임대료 42억원 중 6개월치를 지난 3월15일까지 납부했어야 했다. 하지만 카마존은 기한 내에 임대료를 내지 못했고, 인천항만공사가 납부 기한을 한차례 연장해 겨우 납부할 수 있었다. 이날까지 임대료를 내지 못했다면 인천항만공사는 계약 해지 등을 검토할 계획이었다.

인천 항만업계와 중고 자동차 수출업계에선 6개월치 임대료를 납부하긴 했으나, 21억원을 구하지 못해 이미 기한을 한 차례 지키지 못한 카마존을 믿고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영·중흥토건·오토허브셀카·신동아건설이 함께 설립한 카마존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 경기 악화로 금융권에서 사업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 대상지 인근 주민들도 차량 소음·분진 등 피해를 우려하면서 반대하고 있는 것도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사업 계획을 일부 수정하거나 아예 사업자를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업체뿐 아니라 외국계 업체들도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 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일부는 인천항만공사에 직접 문의하는 경우도 많다는 게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 주요 화물이 된 중고 자동차 물량을 늘리려면 스마트 오토밸리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청회를 열어 사업 진행 과정을 관련 업계에 모두 공개하고, 제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사업자가 임대료를 기한 내에 납부했고,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며 “아직 사업 계획을 수정하거나 사업자 교체 등을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인천항만공사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