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현-사회부.jpg
조수현 사회부 기자
산줄기 훼손을 막자는 데 이견이 있을까.

경기북부 주요 시군을 가로지르는 산줄기인 한북정맥을 취재하며 만난 공무원들도 이구동성으로 한북정맥의 보전 가치를 말했다. 백두대간에서 뻗어나온 고유의 산줄기이자 오염원이 적은 생태자원으로서 보호해야 한다는 당위와, 우리와 미래세대가 가까이에서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이기에 지켜야 한다는 현실적인 목소리 등 이유는 모두 그럴싸했다.

그러나 누구 하나 선뜻 나서지 않는다. 한북정맥을 살리자는 대의에 공감하면서도 저마다 '피치 못할 사정'을 앞세운다. 산줄기를 살리는 데 만만치 않은 예산이 투입된다는 것부터 백두대간처럼 보호할 법적 명분이 없다는 얘기까지. 듣다 보면 보전을 해야 한다는 이유보다 '한북정맥 살리기를 포기했다'는 속내를 둘러대기 위한 핑곗거리 찾기에 급급한 듯싶다. 산림청과 환경부는 물론, 2008년 한북정맥을 살리겠노라 공언했다 지금껏 무위에 그친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그러는 사이 한북정맥의 신음은 깊어진다.

도로·골프장·산업시설에서 나아가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대형 신도시들이 정맥을 도려내고 올라섰다. 이제는 훼손정도와 규모를 판가름하기 어려운 '복합훼손지'마저 등장해 그 비율이 한북정맥 전 능선구간의 16.5%에 달할 정도다. 이대로 방치하면 한북정맥 파괴는 시간문제다. 훼손지 확대를 막고, 당장 실행 가능한 보전방안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산림청과 환경부, 경기도가 한북정맥 보호를 위해 중지를 모으기를 제안한다. 정부 부처마다 산개한 산줄기 보전·복원 사업을 정맥 중심으로 한데 엮고, 공간정보 등 체계를 세운다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20여 년 전 '백두대간보호법'이 제정된 배경에 부처 간 협업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한북정맥을 비롯한 정맥들의 법·제도 보호책 마련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치유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면 그 어떤 핑계도 소용없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조수현 사회부 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