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4천억 규모 중고차 수출단지
6개월치 토지임대료 21억 겨우 납부
국내·외 일부 업체 조성사업 관심속
계획 수정·사업자 교체 목소리 나와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 조감도.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 조감도. /인천항만공사 제공

인천항에 4천억원 규모의 중고차 수출단지(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을 추진하는 민간사업자가 토지 임대료조차 내지 못하다가 납부 마감 당일에야 지급하는 등 자금력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관련 업계에서 나온다.

19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을 추진 중인 카마존 주식회사는 납부 기한인 지난 16일 6개월 치 밀린 임대료 21억원을 냈다. 사업자가 마감일에 맞춰 임대료를 내면서 겨우 고비는 넘겼지만, 4천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업체가 20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업 자체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마트 오토밸리는 중구 남항 배후 부지 39만8천㎡(1단계 20만4천㎡)에 총 4천370억원을 들여 친환경·최첨단 중고 자동차 수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2월 인천항만공사와 임대차 계약을 맺은 카마존은 1년 임대료 42억원 중 6개월 치를 지난 3월15일까지 납부했어야 했다. 하지만 카마존은 기한 내에 임대료를 내지 못했고, 인천항만공사가 납부 기한을 한 차례 연장해 지난 16일 겨우 납부할 수 있었다. 이날까지 임대료를 내지 못했다면 인천항만공사는 계약 해지 등을 검토할 계획이었다.

신영·중흥토건·오토허브셀카·신동아건설이 함께 설립한 카마존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 경기 악화로 금융권에서 사업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 대상지 인근 주민들이 차량 소음·분진 등 피해를 우려하면서 반대하고 있는 것도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사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 일부를 수정하거나 아예 사업자를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업체뿐 아니라 외국계 업체들도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일부는 인천항만공사에 직접 문의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 설명이다.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 주요 화물인 중고차 물량을 늘리려면 스마트 오토밸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공청회를 열어 사업 진행 과정을 관련 업계에 모두 공개하고, 제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사업자가 임대료를 기한 내에 납부했고,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사업계획 수정이나 사업자 교체 등을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인천항만공사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