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4.5.18 /연합뉴스
 

5·18 광주 민주화 운동 44주년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더 이상의 5·18 폄훼와 왜곡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역시 논평을 내고 "여야 간 초당적 협의를 기반으로 5·18 정신이 헌법 전문에 수록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5·18 민주화 운동은 1987년 민주화의 단초를 연 역사적 사건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럼에도 극우세력을 중심으로 한 광주 민주화 운동의 북한군 개입설, 5·18 정신 모독 등 반역사적 행태 등이 이어져왔다. 보수진영 일각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 때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막는 등 시대착오적이며 반민주적 양태 등이 노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5월 10일 취임 이후 3년째 기념식에 참석하고, 국민의힘에서도 120명이 참석하여 총선 평가 간담회를 광주 현지에서 여는 등 퇴행적 행위는 거의 자취를 감췄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대선 때 헌법 전문 수록을 공약했다. 이처럼 윤 대통령과 여야 모두가 헌법 전문 수록을 약속한 만큼 이젠 대통령 공약 실천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헌법 전문 수록이 5·18 왜곡 폄훼를 막고 국민 통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헌법 전문 수록은 지난 1987년 헌법 개정 때부터 거론되기 시작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새 헌법 전문에 5·18과 부마민주항쟁, 6·10 항쟁 정신을 명시해 발의토록 했으나 무산되고 말았다. 따라서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해서는 윤 대통령 의지와 함께 국회 개헌특위 구성이 필요하다.

22대 국회에서 개헌특위 구성을 마치고 2016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에 필요한 국민투표를 실시하면 헌법 전문 수록이 이뤄질 수 있다. 문제는 개헌 논의가 수면 위로 부상하면 권력구조 변경과 야권에서 심심치 않게 제기되고 있는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 등이 수반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논의에 밀려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이 무산되지 않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야 간 이견이 없고 국민 대부분이 찬성하는 헌법 전문 수록이 정쟁적 논의 때문에 수포로 돌아가는 일이 반복돼선 안된다. 원 포인트 개헌을 해서라도 22대 국회에서는 헌법 전문 수록이 이루어져야 한다.